•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영낭자전> 서사에 나타나는 대중성 (Popularity Shown in the Narration of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lt;숙영낭자전&gt; 서사에 나타나는 대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25호 / 195 ~ 220페이지
    · 저자명 : 김미령

    초록

    본 논문은 <숙영낭자전> 서사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사랑받을 수 있었던 원동력이 무엇인지를 텍스트에 나타나는 ‘대중성’에서 찾고자 했다. 이는 주로 ‘독자’의 시각에서 <숙영낭자전>을 재조명해 본 것으로, 작품의 서사구조와 서사적 장치, <숙영낭자전>에 함의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첫째, 익숙함이다. <숙영낭자전>은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과거자잠종기처>를 기본 뼈대로 하여 <아랑형설화>와 『수이전』의 <수삽석남>·『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 등의 ‘환생담’ 주요 대목들을 절묘하게 배합하고 있다.
    둘째, <숙영낭자전> 속에 담긴 세 이야기의 절묘한 배합을 끌어내며, 유기적인 구조로 거듭나게 하는 매개체로서의 서사 장치의 주효한 역할 속에 담긴 대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기·음모·예시몽으로 대변되는 이들 서사 장치들은 작품 속 매개체이기에 앞서 고전문학사의 전통적 기제들로서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숙영낭자전>이 담고 있는 전통적 주제, 바로 ‘사랑’을 담고 있다. <숙영낭자전>은 선군과 숙영을 중심으로 한 ‘부부 중심’의 ‘애정지상주의’라고 할 만큼 사랑에 집중하고 있다. 게다가 <숙영낭자전>은 ‘금기’를 깨고 ‘쟁취한 사랑’, ‘음모’에 휘말려 극단적 상황에까지 몰리는 ‘처절한 사랑’, ‘환생’을 통한 ‘보상받는 사랑’까지를 담아내면서 환상적이면서 낭만적인 사랑이야기로 거듭나는 모습이다. 여기에 ‘사랑’, ‘출세’, ‘행복’이라는 삶의 질적 요소를 여성과 남성 모두의 시각에 공히 맞추고 있으니, 성별을 막론한 사랑을 받았음은 당연하다.
    <숙영낭자전>의 대중성은 무엇보다 익숙한 스토리 전개, 전통적 소재들의 적극적 활용, 그 속에 담긴 ‘사랑’ 이라는 보편적 주제가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대중성이 버물려 지면서 <숙영낭자전>은 익숙한 듯 새로운, 비극적이면서도 낭만적인 작품으로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 그 문맥에서 읽혀지는 익숙함과 전통성, 낭만성과 비극성이 바로 <숙영낭자전> 대중성의 근간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a driving force that the narrative of <Sukyoung Nangjajeon> has been loved in terms of popularity shown in the text. For the purpose, <Sukyoung Nangjajeon> was reconsidered in terms of readers centering on its narrative structure, device and theme implied in it. The results are organized as follows:First is familiarity. The <Sukyoung Nangjajeon> delicately combined main stories from <Aranghyong Story>, <Susapseoknam> of 『Sueejeon』, and <Leesanggyujangjeon> of 『Keumhosinhwa』 based on <Gwageojamjongkicho> published in 『Taepyonghanhwagolgyejeon』. The three stories were tied to create a new story titled <Sukyoung Nangjajeon> beyond the frames of existing stories. However, familiarity shines in these stories. All the novels have been created through combination with countless other texts, which is truly reflected in <Sukyoung Nangjajeon>.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popularity was contained as an effective medium to solicit delicate combination of the three stories in <Sukyoung Nangjajeon> to gain an organic structure. Such narrative devices spoken as ‘taboo·intrigue·prophetic dream’ have secured popularity as a traditional mechanism in the history of ancient literature. Also such mechanism represents contradiction in reality or Utopia that readers have dreamed of, which is another element of popularity in <Sukyoung Nangjajeon>.
    Finally, <Sukyoung Nangjajeon> contains a traditional theme of love. It focuses on love as much as it is considered as love for love’s sake led by a couple of Sungun and Sukyoung. In addition, it is a fantastic and romantic love story although it is love acquired by breaking a taboo and devastating love leading to an extreme situation by being involved in intrigue.
    As well, the author of <Sukyoung Nangjajeon> showed resistance to unreasonable reality of that time through a ‘sacrificing’ image of ‘Sukyoung’ while focusing on ordeals. It is an image of scapegoat in the system of making a woman chaste. Sukyoung who selected an extreme means of suicide against institutional contradiction of the society was the only way for women to resist against the closed society and a deviated criticism of reality.
    Based on the above, it was concluded that the popularity of <Sukyoung Nangjajeon> could be achieved through development of familiar stories, active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a universal theme of love i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