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부전>의 인간의 변이양상 (The Transformation Aspect of Humans i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12
22P 미리보기
&lt;흥부전&gt;의 인간의 변이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25권 / 195 ~ 216페이지
    · 저자명 : 유육례

    초록

    <흥부전>은 판소리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현재까지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그동안 <흥부전>의 흥부는 긍정적 인물로 놀부는 부정적인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흥부전>의 흥부와 놀부를 현 시대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드려다 볼 것이다. <흥부전>은 박을 통해 흥부와 놀부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흥부전>은 다른 소설들과 달리 가난한 백성들에게 신분상승이라는 꿈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려고 시도한 작품이다. 복과 횡재, 공짜로 생긴 노다지는 신화적 요소를 가미시켜 우리에게 꿈과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복과 횡재는 현실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아주 낮음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작가의 상상력에 동화되어 실제로 가능한 일처럼 몰입한다. 이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고안한 창작기법의 진수이다. 실제로 이것의 영향은 요술방망이로 권선징악을 표상하는 광고물의 한 패러디처럼 간주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색안경을 끼고 <흥부전>에서 권선징악을 찾을 것이 아니라 작중인물들의 생각과 이념이 <흥부전>의 소설구조에 어떻게 대립되어 흥미진진한 작품으로 거듭나는지를 눈여겨 봐야한다.
    <흥부전>의 역학적 해석은 변증법으로 치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놀부의 못된 심상이 음이라면 흥부의 아름다움 심상은 양으로 정반합의 구성을 이룬다. 이 음양은 서로 대립하면서 순환을 한 이후에 결과적으로 동기간의 우애라는 선(善)으로 합일된다. 그래서 <흥부전>에서 놀부는 악인의 면모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아니라 선, 다시 말해 우애를 이행하도록 자극하는 매개물이다. 놀부는 악의 상징이 아니라 흥부의 선의 세계로 수용되어 두 형제가 선의 영역에서 화합을 이뤄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결론지어진다. 이는 흥부와 놀부라는 두 주인공이 서로 상반되는 대립, 즉 선악의 대립, 신분의 대립, 갑을의 대립과 같은 부조화가 종국에서는 조화를 이뤄 조화로운 세계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영어초록

    <Heungboojeon> has been loved by many people as a representative Pansori novel.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meaning of Heungboo and Nolboo seen from a new perspective. <Heungboojeon> stimulates the desires of the privileged through a gourd. The writer hides certain aspects of the two characters through a trick. <Heungboojeon> tries to help commoners realize their dream of social success unlike other novels. Although luck, windfall and bonanza could not occur in this miraculous narrative, commoners who had a dream of social success were tricked into being in favor of Heungboo rather than Nolboo. This misunderstanding derives from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t is presented in <Heungboojeon> where Nolboo is opposed to Heungboo.
    A dynamic interpretation of <Heungboojeon> can be replaced by a dialectic. It is a thesis-antithesis-synthesis. The good image of Heungboo is yang while the bad image of Nolboo is yin. As these two images pursue goodness as an original motivation, they return to the beginning of their friendship in <Heungboojeon>. So Heungboo in this story is a messenger of goodness who performs good deeds and raises our status, not a messenger who delivers evil to the readers. In conclusion, the novel was intended as follows: as the evil image of Nolboo is accommodated by Heungboo's world of goodness, the two brothers are in happy harmonies with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