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들전>에 나타난 <춘향전>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On the Reader’s Response to Appearing in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lt;우리들전&gt;에 나타난 &lt;춘향전&gt;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학연구 / 42호 / 379 ~ 404페이지
    · 저자명 : 류수열

    초록

    이 글은 <춘향전>의 또 다른 이본이라 할 <우리들전>이 독자가 독서의 흔적을 명시적으로 남기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독자의 자기실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우리들전>의 독자는 ‘확인 및 공감’, ‘외재적 정보 동원’, ‘자기 투사’, ‘계몽’, ‘희화화’라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들전>은 약 100년 전의 소설 독자가 수행한 역할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특히 이러한 독자의 역할이 현재의 독서 과정에서도 여전히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독서론적 가치는 더욱 빛난다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비’ 개념의 교육적 부활을 제안하였다. 평비와 유사한 개념인 평점은 과거와는 달리 현재 ‘점수’ 자체에 의미의 핵심을 두고 학력을 평가하여 매긴 점수나 가치를 평하여 매긴 점수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따라서 작품의 특정 부분에 대한 평가 활동을 지칭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비평이라는 단어에는 전문가적인 수준의 안목이 전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반응을 일관된 논리로 엮어내는 지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부담이 크다. 따라서 즉흥적이고 인상적인 반응까지도 모두 포괄하면서 자유로운 반응까지 허용하는 ‘평비’를 문학 독서, 혹은 문학 교수-학습 활동의 한 양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용어가 정착된다면 문학 독서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모든 반응을 두루 포괄한다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본고에서 다룬 독자의 여러 가지 역할에 따라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활동도 창의적으로 구안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how readers are reflecting themselves in some ways regarding to reader's individual response on <Urideuljeon>, the one of different versions of the <Chunhyangjeon>. As a result, We have founded that <Urideuljeon> readers took different roles as 'confirmation and empathy', 'us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self-projection', 'enlightenment', 'travesty'.
    It has a distinct historical value regarding to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readers of <Urideuljeon> about 100 years ago. It would be worth more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is role of the readers has still been performed in the current process of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this article, I proposed the concept of Critical Commentary as a educational reintroduction.
    Commentary[評點] which is similar to Critical Commentary, is only focused on the current score or assessment that evaluate the academic ability. Therefore, commentary is not appropriate to refer to assessments of specific areas. In addition, the Criticism[批評]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Perspective of professionals. but also it is intellectual activities that makes literary appreciations in a consistent logical form. so it makes burden to learner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Critical Commentary, which encompass both improvised responses, impressive response and free response, as a term of reading, or Teaching-activities on Education of literature.
    If the term of critical commentary will be settled, it will be able to encompass all variable response in reading literature. And the various roles of readers according to their own work through analysis of how the new crea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an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