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국보전》 전사(前史): 불발된 1947년 한국미술전 계획 (The Prehistory of the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 The Abortive Plan for the 1947 Korean Art Exhibi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2
24P 미리보기
《한국 국보전》 전사(前史): 불발된 1947년 한국미술전 계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7권 / 277 ~ 300페이지
    · 저자명 : 정무정

    초록

    본 논문은 호놀룰루 미술관 관장 로버트 그리핑 주니어(1914-1979)가 왜 1947년 한국미술전람회를 꾸준히 추진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번 전시를 추진한 주역은 그리핑(Gripping)과 국립중앙박물관장 김체원(1909~1990)이다. 이 밖에도 포그 박물관 관장 랭던 워너(Langdon Warner, 1881~1955), 주한미군사령부 교육부 문화국장 월터 데이먼 기퍼드(Walter Damon Giffard, 1909~1965)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미술전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는 로버트 그리핑 주니어(Robert P. Griffing, Jr.) 관련 주요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호놀룰루 미술관 아카이브(Honolulu Museum of Art Archives)와 랭던 워너(Langdon Warner)의 서신을 소장하고 있는 하버드대학교를 방문했다. 발굴된 1차 자료를 바탕으로 1947년 한국미술전에 대한 그리핑의 구상부터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계획이 좌초되기까지의 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한국미술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리핑이 미술관 활동에 쏟은 열정과 한국미술에 보여준 애정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그리핑은 30대 초반에 호놀룰루 미술관 관장에 부임하여 동서의 중간에 자리한 하와이의 문화적 정체성을 호놀룰루 미술관에 확고히 구현하려는 야심을 품었고, 그러한 야심은 문화적 지식의 상호교환을 통한 국제 이해와 상호존중이라는 유네스코와 이콤의 이상에 대한 그의 신념과 결합하면서 그의 평생의 열정을 만들어 냈다. 특히, 호놀룰루 미술관을 동서문화 교류의 교두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그의 야심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그리핑이 조우한 한국미술은 그의 미술관 인생에서 나침반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따라서 미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잊힌 역사가 되어버린, 동서문화 교류를 위한 그리핑의 노력은 충분히 재조명할 가치가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한국문화와 미술에 대한 미국인들의 관심과 이해를 확산시키고자 했던 그리핑의 열정은 한국전쟁 이후 실제로 《한국국보전》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미묘하게 변해간 것으로 보인다. 그 변화의 과정에 대한 고찰은 또 다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ed with a question about why Robert P. Griffing, Jr. (1914-1979), director of Honolulu Museum of Art, wanted consistently to push the 1947 Korean Art Exhibition forward. The two main players who promoted the exhibition were Gripping, and Kim Chewon (1909-1990),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addition, Langdon Warner (1881–1955), curator of the Fogg Museum, and Walter Damon Giffard (1909-1965), head of Bureau of Culture, Department of Education,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examine the progress of the Korean Art Exhibition, I visited the Honolulu Museum of Art Archives, which holds the primary materials related to Robert P. Griffing, Jr. and Harvard University, which houses the correspondence of Langdon Warner. Based on the primary materials excavated, I want to reconstruct the 1947 Korean Art Exhibition, from Gripping"s conception of it to the plan"s collapse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1947 Korean Art Exhibition, Gripping"s pure passion for museum activities and affection for Korean art are unmatched. Gripping was appointed director of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 his early 30s, and had an ambition to firmly embody the cultural identity of Hawaii, which is located between East and West, at the Honolulu Museum of Art. Combined with his belief in the ideals of UNESCO and ICOM, it created his lifelong passion. In particular, Korean art, which he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ideals and ambitions, served as a beacon in Gripping"s art museum life. Therefore, Griffing"s efforts for East-West cultural exchange, which has become a forgotten history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Korea, are worth reexamining. However, unfortunately, Griffing"s passion to spread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America appears to have subtly changed in the process of actually organizing the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after the Korean War. A subtle change of Griffing’s passion will be covered in another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