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圖經』 譯註」(6) -권5 「宫殿一」편과 권6 「宫殿二」편의 「長齡殿」・「長慶殿」편의 분석을 중심으로- (Goryeodogyoung Annotated (6))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高麗圖經』 譯註」(6) -권5 「宫殿一」편과 권6 「宫殿二」편의 「長齡殿」・「長慶殿」편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0호 / 407 ~ 436페이지
    · 저자명 : 김윤지, 이진한, 오치훈

    초록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에 宋 사절단의 일원이었던 徐兢이 고려에 한 달 남짓 방문하여 견문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는 권5 「宫殿一」편과 권6 「宫殿二」편의 「長齡殿」, 「長慶殿」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宫殿一」은 고려 궁궐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서긍이 직접 관찰한 바를 중국의 제도와 비교 서술하여 당시 고려 궁궐의 실상을 알려준다. 고려는 황제국 체제에 입각하여 중국의 궁궐 제도를 모방하였고, 당시 서긍은 고려에 체류하면서 그 실상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고려가 중국의 제도를 표방하였음에도 이를 꾸짖지 않는 중국 황제의 면모에 감탄하고, 그에 대한 고려의 충순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고려전기 황제국 체제를 표방하였던 고려의 사정과 그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대목이다. 「王府」는 왕부 내성의 門과 殿門, 官府, 殿, 閣 등에 대한 기록으로, 서긍은 각 건물마다 가장 화려한 제도를 갖춘 곳을 지목하였다. 다만, 관부 중 尙書省 건축이 으뜸이라는 묘사와 政事를 논의하는 건물이 별도로 있었다는 기록은 고려전기 中書門下省의 비중과 政事堂 운영의 실상과 다소 차이가 있다. 한편 「王府」는 국왕과 신하들의 만남을 생생히 묘사하였다. 그런데 조회 횟수를 매월 1일, 15일을 비롯하여 5일에 한번씩 6회로 기록한 것은 『高麗史』에 기록된 조회 시행 일자를 참고할 때 사실과 다르다. 다음으로 「會慶殿」, 「乾德殿」, 「長和殿」, 「元德殿」, 「萬齡殿」 부분은 건물을 직접 방문해야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담겨있으며, 해당 건물에서의 행사는 중국 사절과의 연회와 관련된 내용이 많다. 「宫殿二」편 또한 고려 궁궐에 대한 기록이다. 「宫殿二」의 「長齡殿」, 「長慶殿」 부분과 「宫殿一」의 「長和殿」, 「元德殿」 부분은 해당 건물에 대한 제도와 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자세한 자료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Goryeodogyeong (高麗圖經, Gaoli tu jing in Chinese) contains the experience of SeoGeung(徐兢), who visited Goryeo for over one month as a member of a Song delegation in 1123 (the 1st year of King Injong’s reign). This paper investigated it, focusing on its Vol. 5 Gungjeon 1(宫殿一) and the Jangyeongjeon(長齡殿) and Janggyeongjeon(長慶殿) of its Vol. 6 Gungjeon 2(宫殿二). Gungjeon 1(宫殿一) explains the structure of the palace in the Goryeo dynasty, and shows the actualities of the Goryeo palace by describing his own observ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Chinese system. Goryeo imitated the palace system of China in terms of the imperial system, and SeoGeung witnessed the actualities of Goryeo while he sojourned in Goryeo at that time.He admired the Chinese emperor who did not chided Goryeo even though it borrowed the Chinese system without permission, and emphasized Goryeo’s allegiance to him. This is an important part that shows the circumstances of Goryeo, which claimed an imperial regime in its early period, and the position of China towards them. Wangbu(王府) is records about the gate of the inner castle in royal residence, palace gate, government offices, palace, jeon(殿), gak(閣), etc., and SeoGeung pointed out the most splendid system in each building. But the description that the architecture of Sangseoseong(尙書省) is the foremost among government offices and the record that a separate building for discussion of political affairs existed show some differences from the relative importance of Jungseomunhaseong(中書門下省) and the real state of the operation of Jeongsadang(政事堂) in the early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Wangbu (王府)describes vividly meetings between the king and his courtiers. But records about six-time royal audiences every five days, including the first day and the fifteenth day in every month, are at variance with the truth recorded in Goryeosa(高麗史). Next, parts about Hoegyeongjeon(會慶殿), Geondeokjeon(乾德殿), Janghwajeon(長和殿), Wondeokjeon(元德殿), and Manyeongjeon(萬齡殿) contain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only by personal visits to the buildings, and events at the relevant buildings are often related to banquets for the Chinese delegation. Gungjeon 2(宫殿二) is also records about Goryeo’s palace. The parts of Jangyeongjeon(長齡殿) and Janggyeongjeon (長慶殿) in Gungjeon 2(宫殿二) and Janghwajeon (長和殿) and Wondeokjeon(元德殿) in Gungjeon 1(宫殿一) provide the most detailed data on the systems and uses of the relevant buil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