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淵 金昌翕의 『伯夷傳』 이해와 그 의미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Samyeon(三淵) Kim Cangheup(金昌翕)’s Poyi Story(伯夷傳))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3.06
32P 미리보기
三淵 金昌翕의 『伯夷傳』 이해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5호 / 307 ~ 338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백이 수용의 제 양상과 백이 담론의 사적 맥락을 파악하여, 그것이 한국문화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밝히려는 거시적 목표 아래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특히 삼연 김창흡의 백이론에 주목하였다. 김창흡은 자신의 만년작인 「일록(日錄)」과 「만록(漫錄)」속에 조선후기 백이 담론의 새 장을 연 세 가지 버전의 백이론을 남겨 두었는데, 이 작품이 당대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뿐 아니라 18세기 백이 담론 장에서 매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주된 분석 텍스트로 삼았다.
    그리고 세 버전의 백이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김창흡은 ‘사기열전총서(史記列傳總序)’라고 하는 「백이전」의 창작한 동기와 그 주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구한말 이건창(李建昌, 1852~1898)으로 이어지는 백이열전비평(伯夷列傳批評)의 초석을 닦았다는 사실이다. 둘째, 김창흡은 대명의리론(大明義理論)과 존주론(尊周論)이 위세를 떨치던 18세기 초, 새로운 백이 표상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의 백이 신화를 허무는 데 앞장섰다는 점이다. 셋째, 김창흡의 백이론은 당대의 관념적인 명분론자들에 대한 매서운 일침으로 독단에 빠진 노론 집권층의 학문태도와 춘추의리를 비판하고 자신의 유연한 학문관과 출처관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넷째, 김창흡의 백이론은 이후 송문흠과 오재순 등 노론 낙론계 지식인들의 비판 담론을 야기할 뿐 아니라 박지원과 박제가 등 북학파 지식인에게도 일정부분 영향을 주어, 18세기 이후 강화되는 백이 담론의 다양화와 예각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사실을 종합해 볼 때 김창흡의 백이 이해는 당대의 정치․사회적 맥락 위에 자신의 학문관과 출처관을 직조하여 만들어낸 새로운 생성물임을 알 수 있다. 사마천의 「백이전」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백이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이전에도 이후에도 없는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잘 말해준다. 그리고 김창흡의 백이론을 계기로 이후의 백이 담론이 새로운 양상을 띠고 변한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김창흡이 백이론 외 현재 확인된 백이 담론 자료들을 꼼꼼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designed for a macroscopic aim to apprehend types of Poyi acception and historical contexts of Poyi theory in Chosun period, and to reveal their meaning occupying in Korean culture history. For this, this paper especially took note on Samyeon Kim Changheup’s Poyi theory. He bequeathed three version of Poyi theory which opened new fields of Poyi discourse of later of Chosun in his later writing Ilrok(日錄) and Manrok(漫錄). They had very important meaning not only in politicㆍsocial contexts but also in field of Poyi discourse in 18C. So they became main analysis texts.
    Through three versions analysis on Poyi theory, we could find follow facts. The first, Kim Changheup laid foundation-stone of critic on biographies of Poyi being connected by Lee Gunchang in the later of Chosun, with understanding writing motif and main message of Poyi story called as a series of Shinji biography(史記列傳總序). The second, he constructed new icon of Poyi in the early 18C when loyalty discourse on Ming(大明義理論) and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made a display of their influence. Then he led to destroy myth of Poyi based on new icon of Poyi. The third, Kim Changheup’s Poyi theory criticized academic attitude and confucian moral sense(春秋義理) of Noron falling in dogma class with power as a shot to ideological confucianists in those time, and showed his view of learning and origin. The forth, Kim Changheup’s Poyi theory brought Nakron group of Noron intellectuals’ critic discourse such as Song Moonheum, Oh Jaesoon etc. Also he influenced Bukhakpa intellectuals, Park Jiwon, Park Jega. As a result, he contributed to diversification and astuteness of strengthen Poyi discourse since 18C.
    Putting previous facts together, Kim Changheup’s understanding of Poyi was a new product weaved his view of learning and origin for contexts of politicㆍsocial in those time. Constructing his own world apprehending accurately features of Poyi story written by Sima Qian and building independently icons of Poyi was well showed this fact. After Kim Changheup’s Poyi theory, Poyi discourse changed to new aspects which had more meaning. The reasons of looking deep into now confirmed materials of Poyi discourse added to Kim changheup’s Poyi theory are laid to these fact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