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향전」의 근대적 변개와 정치의식 (Modern Modifications of Chunhyang-Jeon (춘향전) and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05
36P 미리보기
「춘향전」의 근대적 변개와 정치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3호 / 481 ~ 516페이지
    · 저자명 : 권순긍

    초록

    이주홍의 「탈선 춘향전」(1951)은 「춘향전」의 서사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재담을 활용한 디테일을 통해 1950년대 자유당 독재정권에 대한 비판과 민주정치에의염원, 여성의 동등한 권리를 담론화 하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춘향의 인물형상을 변개하여 이몽룡과의 논쟁이나 변학도를 향한 수청거부와 저항을 통해 그런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으며, 애정서사의 빈자리는 방자와 향단의 사랑으로 대체하였다.
    김주영의 「외설 춘향전」(1994)은 새로운 인물 장돌림과 최씨 부인을 추가하여 장돌림의 주도로 사건을 변개하여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성사되도록 하였다. 새로운 인물에 의해 새로운 사건이 추가되어 「춘향전」의 애정서사를 양반이 아닌 피지배계층인민중들에 의해 주도되는 일들로 변개하고자 했다. 이런 변개 방식을 통해 상대적으로 지배층인 양반계층의 무능과 한계를 풍자하여 1980년대 이후 성장된 민중의식을 보여주고자 했다.
    한편 최인훈의 「춘향뎐」(1967)은 주요 인물과 사건을 변개하여 춘향의 수청거부와그로 인한 수난을 1960년대 정치적 알레고리로 삼은 작품이다. ‘멸문지화(滅門之禍)’를당한 이몽룡은 춘향을 구할 수 없는 데다 신임 암행어사는 춘향을 자신의 첩으로 요구하는 처지에서 이들은 ‘밤도망’을 해서 소백산 속에 숨어든다. 심마니 노인과 만났지만 나중에 찾아갔을 때는 결코 만날 수 없었다는 이야기로 「춘향전」의 익숙한 서사를변개하였다. 변학도의 협박과 암행어사의 회유에도 이들이 지킨 사랑은 자유당 독재정권과 5.16 군사정권의 폭압과 회유 속에서도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노력과 의지로 보이며, 이들의 자취가 산삼으로 남았다는 설정은 정치적 탄압 속에서도 민주주의에 대한 희망의 씨앗을 남겨두었던 것으로 읽힌다.
    임철우의 「옥중가」(1990)는 「춘향전」의 서사를 대폭 변개하여 1990년 ‘3당 합당’ 이라는 정치적 사건을 알레고리로 삼았다. 이몽룡이 변판서의 사위가 되기로 약조하여암행어사가 되었던 탓에 남원에는 내려가지도 못하고, ‘안방 차지’를 하려고 ‘열녀’ 시늉을 하던 춘향은 이 소식을 듣고 변학도의 첩으로 들어가 ‘확실한’ 선택을 하는 이야기로 「춘향전」을 변개했다. 이를 통해 1980년대 민주화 항쟁을 벌였던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배신한 야당 정치인을 노골적으로 풍자했다.

    영어초록

    Lee Ju-hong’s Talseon Chunghyang-Jeon (1951) does not change many parts of narrative structures. Instead, by adopting the details of narration skills, his work delivers such ideas as the criticism against the Jayu Party’s dictatorship of 1950s, civil yearning for democracy, and equal rights for women. In particular, the image of Chunhyang is modified to such extent that she has arguments with Lee Mong-ryong and then refuses Byun Hak-do’s demand for bed service. The empty place for love affections is successfully replaced with those of Bangja and Hyangdan.
    Kim Ju-young’s Oyseol Chunhyang-Jeon (1994) has new figures Jang Dol-rim and Mrs.
    Choi. This story is modified in that Jang Dol-rim plays a leading role in bringing success in love between Chunhyang and Lee Mong-ryong. Actually, the addition of the new incident by the new figure is an attempt in which the epic love of Chunghyang-Jeon is not led by the noble class but by the governed public. This modification is to demonstrate some developed public awareness of 1980s by satirizing the incompetence and limitation of the noble class.
    Choi In-hoon’s Chunhyang-Dyon (1967) rather attempts to show the political allegory of 1960s. His work modifies well-known narrative by changing the relevant episodes in which Chunhyang declines the demand for bed service and experiences great sufferings. Lee Mong-ryong’s family is completely wiped out, as a result, he cannot save Chunhyang at all. Moreover, the secret royal inspector strongly demands Chunhyang to become his concubine. In Choi’s work, Mong-ryong and Chunhyang decide to flee by night and hide in a deep place in Mountain Sobaek. Later, they run into an old man digging for sansam, wild ginseng. However, they are never found as the story comes to the end. Their ardent love, in spite of Byun Hak-do’s threat and the royal inspector’s conciliation, is represented as the effort of the time to maintain democracy. A sansam, found on their residing place, is a clear representation for the seed of democracy, which has survived harsh political oppressions.
    Lim Cheol-woo’s Okjung-ga (1990) greatly modifies the narrative of Chunghyang-Jeon to present the allegory of the 1990’s political merge of the three parties. Lee Mong-ryong is appointed as the royal inspector in the plot of becoming Byun Hak-do’s son-in-law.
    He does not even come down to Namwon whereas Chunhyang only pretends to act as a faithful woman. In an attempt to secure practical interests, Chunhyang chooses to become Byun Hak-do’s concubine. In such modifications of the narrative, the writer bluntly satirizes the politicians' betrayal of civil demand for democracy in 198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