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鈺의 인간학-傳을 대상으로- (Human studies of Lee Ok: Based on Jeon(傳))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李鈺의 인간학-傳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52호 / 233 ~ 260페이지
    · 저자명 : 정환국

    초록

    이 글은 李鈺의 傳문학을 분석하여 그의 인간에 대한 관심을 인간학의 차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인간학이란 이옥이 인간을 학적으로 접근했다는 취지에서 붙인 용어가 아니다. 그보다는 이옥이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한 인물들의 면모를 통해서 드러내 보이기도 하고, 또 이 과정에서 그 자신 인간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고민하고 있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이옥의 전은 편수와 입전 대상의 다양성 면에서 이미 주목 받았거니와, 그 형식도 자유로운 편이다. 특히 애착이 가거나 불편한 현실에 처한 인물의 경우, 수시로 評을 집어넣거나 감탄어를 연발하는 등 남다른 자기 글쓰기를 추구하였다. 그 입전 대상은 거개가 운명 앞에 선 小民들이거나 선택의 기로에 놓인 시정인들이었다. 이들은 불가피한 운명 앞에서 과감하게 자신을 던져 충렬을 실천하기도 하고, 복잡한 시정사회 안에서 自守와 상실의 표상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옥은 이런 인물들에게서 운명 앞에 머뭇거리고, 삶의 기로에서 방황하는 인간의 생래적 조건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였다. 따라서 그의 전의 전반적인 정조는 ‘연민’과 ‘애상’이다. 이처럼 인물에 대한 감성적 이해가 이옥 전의 특장인데, 이에 따라 이념의 굴레에 닫혀 있던 인물들이 하나둘씩 그 틀을 깨고 원래 ‘자신’으로 깨어나는 인상이다. 그렇다고 과도한 감정을 분출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이옥은 해당 인물들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 입장을 버리지는 않았다. 그가 여성을 소재로 한 작품도 많이 남겼고, 남녀의 진정을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인간의 성적 욕망까지 긍정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당연히 전통적인 관습과 윤리 규범 안에서 응시하되, 인간에게 놓인 본연의 조건을 함께 고민한 셈이다. 이런 이옥의 인간학을 ‘감성의 에토스’라고 잠정적으로 규정해 둔다. 이것이 윤리 규범 안에서 사유하되, 좀 더 인간의 본성과 그 관계성을 성찰하고자 한 이옥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이라 하겠다. 이제 탈중심적, 해체적이라는 용어로 재단되어 온 이옥과 그의 글쓰기에 대해 다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때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intended to interpret his interest in human in the dimension of Human studies through analysis of Jeon(傳) among his works. Here, meaning of Human studies do not tell that Lee Ok approached human academically. Rather, this means that Lee Ok understood human through aspects of various figures shown on his works. So Human studies is used to stress that he deeply thought about self-identity as a human being in the process.
    Jeon of Lee Ok has been in the spotlight because its form is free, number of works is many, and various figures appear on the works. Especially, he pursued his own unique writing, for example, inserting comments at times for figures whom he gave attachment or who were in unsatisfied reality, or was impressed saying exclamation etc. Most of figures shown on his Jeon were lower middle class people or ordinary people. They even dare to plunge into life before unavoidable destiny to practice royalty and fidelity. Or they repeat self-defense and trouble caused by loss in the midst of society of ordinary people. Through such figures, he continued to think over about human original appearance that is reluctant before destiny and is wandering about in the crossroads of life. So, general overall emotional color of his Jeon is ‘compassion’ and ‘sadness’.
    In the end, to say about characteristic of Jeon written by Lee Ok, it can be summarized as emotional understanding about figures. Further- more, this should draw attention that figures closed by fetters of ideology break conventional frame one by one and find ‘self’. But Lee Ok was not excessively emotional in his writing. He basically did not leave from moral and ethical position about figures on his works. He wrote a number of works with materials of woman, stressed true affection of man and woman, but an example has not been found where human sexual desire is recognized. This means that naturally he stared at something within traditional customs and ethical norm but on the other hand, deeply thought human original problems. This study tentatively defined such Lee Ok’s Human studies as ‘emotional ethos’. This is a new method for understanding about Lee Ok who tried to deeply reflected on human nature and relationship thoug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