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崇德殿의 제례의식 (Ritual Ceremonies at Sungdokjeon (崇德殿)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4.08
24P 미리보기
조선시대 崇德殿의 제례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34호 / 171 ~ 194페이지
    · 저자명 : 한형주

    초록

    본고는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의 사당인 숭덕전에 대한 설치 연원 및 그 제사에 대한 전체적인 이야기를 전개시켰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태종 14년(1414)에 단군, 기자, 고려시조에게 제사하는 의주를 상진하고 제사의 등급을 중사로 삼았다. 前代의 사실을 본받고자 하는 의식이 사전의 정비과정에서 이들을 중사에 편입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때 삼국의 시조는 그 의식의 과정 속에 제대로 편입되지 않았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시조가 편입되지 않은 반면에 고려시대의 경우 시조 뿐 아니라 혜왕, 현왕, 충경왕, 충열왕 등 4위의 왕에게 대해서 사전에 등재시켰던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세종대 중반에 제위전을 각각 3결씩 이들 삼국시조에게 설정했거나 지리지의 대상에 포함시켰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며, 세조가 고구려의 시조에게 제사지내는 등의 조처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종실록』 오례에 반영되어 신라 시조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 않지만 『국조오례의』 길례의식에는 분명하게 ‘신라시조 박혁거세’를 포함하는 ‘역대시조’였다.
    이 상황은 경종대에 이르러 바뀌게 되었다. 경종은 경상감사 조태억의 상소를 바탕으로 신라의 시조묘에 ‘崇德’이라는 묘호를 내렸고, 예관을 보내어 치제하도록 명하였다. 뒤이은 영조는 그 제사를 활발하게 만들었는데, 李宗城이 좋은 여건을 만들었다. 영조는 朴弼正과 朴文秀의 숭덕전에 대한 상소를 받으면서 아애 숭덕전에 대한 명칭을 ‘신라시조왕’으로 하였고, 숭덕전에 설치한 殿監의 연한으로 그 관원을 승진시키며, 승지를 보내 신라 시조묘에 대하여 제사를 드리게 한 것이다. 이 조처는 기본적으로 중국에서 역대 帝王廟에 대한 존숭을 본받은 것으로 전조의 충신이 말세를 경계한 내용을 본받아 시행한 것이다.
    한편 영조의 숭덕전 고사를 본받으면서 정조는 다름대로의 방향을 세워서 치제하였다. 그는 당시 전라도를 암행하고 있던 李晩秀에게 숭덕전에 대한 제사를 드리도록 명하면서, 아울러 제문을 본인이 쓰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게다가 경순왕의 제사를 신라 시조와 구분하여 2월과 8월이 아닌 立春과 立秋에 시행할 것과 숭덕전에서 8변, 8두의 제기를 쓰는 반면 경순왕은 7변, 7두를 쓰는 등 차이를 두었던 것은 양자의 차별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러한 차별을 넘어 자신이 직접 편액을 쓰겠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고종 대에 들어와서 숭덕전의 제사는 좀 더 발전되었다. 고종대에는 정조대 이후 수 십년 동안 숭덕전에 대하여 중앙정부가 신경을 쓰지 못한 것을 만회하듯이 재위 7~8년 동안에 그 무너진 재전을 재차 수리․보완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관련 사항, 즉 이전 단계에 언급되었던 숭덕전 관리들의 승진규정을 다시 살펴보고서 재조정하였다. 그리고 신라 시조의 3중성, 즉 박혁거세, 미추왕, 탈해왕 등 3인의 시조에 대하여 각각 치제를 하는 등의 조처를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Sungdokjeon(崇德殿) is progenitor shrine of Silla Dynasty, Bakhyeokgeose. It was included to Dangun, Gija, Dongmyeowang in middle-level of Sajeon(祀典), but not Bakhyeokgeose. This status quo is same to Sejong sillok's Orye(世宗實錄 五禮). But 'Yeodaesijo', including Samguk and Goryeo dynasty kings, in Kukcho oryeŭi (國朝五禮儀, Five State Rites) of King Seongjong period, was contained and demonstrated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during Joseon Dynasty.
    It was changed from nation to this shrine provide 'Sungdok'-title in the King Gyeongjong. Next generation, King Yeongjo established the Sungdokjeon's system and expressioned to pay respect to ancestral rites by private secretary. This content included former dynasty's loyal subject keep a lookout end of the world. Subsequently, King Jeongjo, succeed to the Royal line, established spring and autumn ancestral rite system and establishe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of eight Beon(邊)-eight Doo(豆) style in Sungdokjeon Rites. And finally, King Gojeong reestablished Sungdokjeon building during 7-8 years in his reign, and improved promotion system associated Sungdok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