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흑화(黑靴)의 유래와 변천 (Historical Investigation on Black Shoes of China in Terms of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0.12
35P 미리보기
중국 흑화(黑靴)의 유래와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4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종만톈

    초록

    3000년 전 노예제 사회였던 상주(商周)시기에는 모든 신발을 “구(屨)”라고 불렀다. 신목이 있는 신발은 2000년 전 진한(秦漢)시기 중원 왕조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의 신을 “통화(筒靴)”라 하였다. 그러나 화(靴)를 신는 습관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던 시기이다. 남북조(南北朝)시기에 접어들어 중원 변방의 소수민족들과의 이주와 교류는 신발 양식에 영향을 주어 북방 사람들이 신는 화(靴)가 점차 한족에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다. 통화(筒靴)의 색깔도 노란색, 갈색에서 점점 검정색으로 변했고, 형태는 신목이 짧은 것, 신목이 중간인 것에서 신목이 긴 것으로 발전했다. 남북조(南北朝) 시대에 통화(筒靴)를 대체하여 중국 흑화(黑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수당(隋唐)시기의 화(靴)는 백관예복(百官禮服)으로 사용되었다. 이 때의 화(靴)는 대부분 검정색의 피화(皮靴)였는데, 보통 6조각으로 재단하였기 때문에 “오피육합화(烏皮六合靴)”라고 불렸다. 이것이 중국 흑화(黑靴)의 기원이다. 당나라는 수대(隋代)의 흑화(黑靴) 형태를 답습하였으며 송나라는 수나라와 당나라의 흑화(黑靴) 제도를 그대로 따랐고, 흑화를 “조문화(皂文靴)”로 개칭했다. 이 신발은 검은 가죽이고 안감으로 전(氈)을 덧댄 것이 특징이다. 원나라 때의 흑화(黑靴)는 관리의 표상이 되었으며 재료에 상관없이 화(靴)는 항상 검정색이었기 때문에 “오화(烏靴)”라고 불렸다.
    명나라 정권이 세워지면서 “의관을 당나라의 제도와 같게 하라[復衣冠如唐制]”는 조칙이 내려졌다. 여기 에서 화(靴)는 피혁(皮革) 소재 외에도 전(氈), 단(緞) 등의 직물로 제작하였고 반드시 흑색이었기 때문에 조화(皂靴)라고 불렸다. 이러한 제도가 명·청시기 까지 이어져 중국 흑화(黑靴)의 전성기가 시작되면서 중국 흑화(黑靴)는 봉건시대 통치자의 권위와 표상이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Shang Dynasty and Western Zhou periods about 3000 years ago, there was a slave system and all shoes were called sandals “(屨)”. Sinal which were the shoes with a neck had been used in Zhongyuan since the Qin and Han Dynasties 2000 years ago of which shoes were called boots (筒靴). At that time, however, boots were not common shoes. Entering into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movement of and exchange with minor tribes around Zhongyuan had influences on the shoe pattern and boots of the northern people were gradually accepted by the Han tribe. The color of boots also had been gradually changed to yellow, brown, and then black. The neck of the shoes also was changed from the short neck to the middle neck and then developed to the long one. Substituting boo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shoes were developed to the black boots (黑靴).
    Boots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were used as formal shoes for the whole officials. Most boots at that time were leather boots. Since they were designed with six pieces, they were called six-piece black leather boots (烏皮六合靴). It was the origin of the black boots of China. Shoes in Tang Dynasty followed the black boots. Song Dynasty also followed the black boot system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but they changed the name of the black boot to black-pattern shoes (皂文靴) which were made of black leather with felt cloth (氈) inside. In the Yuan Dynasty, black boots were the symbol of government officials. They also were called crow shoes (烏靴) as they were always black, regardless of materials.
    When the Ming Dynasty was founded, they set an ordinance of the government, which was “Follow the dress code of the Tang system (復衣冠如唐制)”. Boots were made of leather and fabrics such as felt (氈) or satin (緞). Since all boots should be black, they also were called black-pattern boots (皂靴). Such a system continued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starting the heyday of black boots in China. Black boots in China were the symbol of power of the ruler in the feudal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복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