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的2’, ‘的3’과 ‘來着1’의 통사적 특징과시간 자질 중한 대조연구 (Syntactic Features and Time Semanteme of “De₂(的₂)”, “De₃(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a and Kore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11
16P 미리보기
‘的2’, ‘的3’과 ‘來着1’의 통사적 특징과시간 자질 중한 대조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3호 / 67 ~ 82페이지
    · 저자명 : 한경숙

    초록

    본고는 현대중국어 시간조사 ‘的₂’, ‘的₃’과 ‘來着₁’의 통사구조와 시간 자질에 대한 공시적인 중한 대조분석을통하여 이들의 변별적 시간 자질 즉 ‘的₂’, ‘的₃’과 ‘來着₁’ 사이의 시간 표현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的₂’와 ‘了₁’의차이도 분석하였다. ‘的₂’는 술어의 바로 뒤에 위치하고 ‘的₃’은 문장의 말미 즉 목적어 뒤에 위치한다. ‘來着₁’도문장의 말미에 위치한다. ‘的₂’, ‘的₃’ 구문의 술어는 지속성 동사, 비지속성 동사, 심리동사, 형용사 등이 가능하고 ‘來着₁’ 구문의 술어는 지속성 동사, 심리동사, 존재동사, 판단동사 모두 가능하다. 복합문 중에서 ‘來着₁’은앞 구문의 말미에 출현할 수 있지만, ‘的₂’, ‘的₃’은 앞과 뒤 구문 모두 가능하다. ‘的₂’, ‘的₃’ 구문에서 ‘的₂’, ‘的₃’ 은 어기에 따라 분류된 陳述句, 感叹句, 祈使句, 疑问句 등 구문에 모두 출현 가능하고, 특수한 主謂句인 連動 句, 兼語句, ‘把’字句, ‘被’字句 등에도 출현 가능하지만, 存現句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來着₁’ 구문은 疑问句가가장 많고 陳述句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으며 ‘的₂’, ‘的₃과 달리 存現句가 가능하다.
    현대중국어 시간조사 ‘的₂’, ‘的₃’과 ‘來着₁’은 술어 동사의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的₂’, ‘的₃’과 ‘來着₁’의시간 자질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들과 관련된 술어의 자질을 먼저 고찰하였다. 상 자질 보유 여부를 판단할 수있는 [+동태성], [+완결성], [-순간성], [+접근성] 등 술어자질을 먼저 설정하고 예문 분석을 통하여 ‘的₂’, ‘的₃’과‘來着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的₂’는 상 자질과 시제 자질을 가지고 있고, ‘的₃’은 시제조사 겸 어기조사이며, ‘來着₁’ 역시 어기조사 겸 시제조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的₂’, ‘的₃’과 ‘來着₁’ 모두 우리말의 ‘_었(었었)_’으로번역되는데 ‘_었(었었)_’은 한국어에서 ‘과거시제’를 나타낸다. 즉 중국어의 시간조사 ‘的₂’, ‘的₃’과 ‘來着₁’ 등은상, 시제, 어기 등 여러 가지 자질을 구현하고 있지만, 이들과 대응되는 한국어의 범주는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시제뿐이다. 이렇듯 한중 두 언어는 시간 표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的₂’와 ‘了₁’도 비교 분석하였다. ‘的₂’와 ‘了₁’ 두 조사 모두 술어 동사의 뒤에서 동사의 상 자질을 구현해주고있지만, ‘的₂’구문의 의미지향(語義指向)은 동사 앞의 부사어에 있는 반면, ‘了₁’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 동사자체의 상에 있다. 비록 이들 모두 술어 동사의 상을 구현해주고 있지만, 두 조사의 의미지향이 다르기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 자질들이 서로 다르다. 즉 각 구문의 초점이 서로 다르다. 그리고 ‘的₂’와 ‘了’ 앞의 동사가[+순간성] 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일 때 ‘的₂’가 동사의 과거시제를 나타내지만, ‘了’는 동태조사가 아닌 어기조사 ‘了₂’이다. 즉 술어동사가 [+순간성] 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일 때 그 뒤의 ‘了’는 동사의 상 자질을 구현해 줄 수 없다. ‘的₃’과 ‘來着₁’은 비록 문장 중에서 모두 어기조사 겸 시제조사이지만, ‘的₃’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동사 앞의 부사어에 있고 ‘來着₁’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 동사에 있다. 이렇듯 ‘的₂’, ‘的₃’과 ‘來着₁’ 모두 시간자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De₂(的₂)” located immediately behind the predicate and the end “De₃(的₃)” is located behind the object. “Laizhe₁(來着₁)” located in the tail. “De₂(的₂)”, “De₃(的₃)” syntax of the wine is often a bean properties of verbs, psychological verbs, verbs, adjectives, and other “Laizhe₁(來着₁)” syntax“ of the wine is continuity verbs, psychological verbs, verbs are verbs, judgement is possible.
    composite door “Laizhe₁(來着₁)” of the phrase appeared in the end of the can, “De₂(的₂)”, “De₃(的 ₃)” before and after the phrases are possible. “De₂(的₂)”, “De₃(的₃)” syntax is the statement, the question, the research use the as soon as possible, and “Laizhe₁(來着₁)” phrases are only part of the question, the statement is possible. the investigation of modern chinese time “De₂(的₂)”, “De₃ (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tim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verb. “De(的₂)”, “De(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time,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edicate of the first temple. the quality judgment of whether to have [+ Dynamics], [+Completion], [-Instantaneity], [+Proximity] the transient availability, quality and sample analysis, first through the “De₂(的₂)”, “De₃ (的₃)” and the “Laizhe₁(來着₁)” the results “De₂(的₂)” the quality and test quality. when the “De₃(的 ₃)” and what, “Laizhe₁(來着₁)” is what and how to investigate. “De₂(的₂)”, “De₃(的₃)” and “Laizhe₁(來 着₁)”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었(었었)-”, Korean “-었(었었)-” belongs to the past tense system. it is the chinese for “De₂(的₂)”, “De₃(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is the tense, and reflects the quality of tone, but also to be the language of the sub category of the category of the test is in the past tense. this is also “De₂(的₂)” and “Le₁(了₁)”, “De(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comparative analysis. “De₂(的₂)” and “Le₁(了₁)” difference is the object of verbs are also in the quality of the verb to have, “De的₂” focus in front of the adverbial verb phrase in the phrase, “Le₁(了₁)” focus on the language itself. the investigation of the two, although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verbs and the use of different means, and the existence of reasons will be different. and “De(的₂)” and “Le₁ (了₁)” difference, the verb “De₂(的₂)” is [+ Dynamics], [+Completion], [+Instantaneity], [-Proximity], “the availability of “De₂(的₂)”, the past tense of verbs in the mainland, in the category. the trial.
    this is also “De₂(的₂)” and “Le₁(了₁)”, “De₃(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comparative analysis. “De₃(的₃)” and “Laizhe₁(來着₁)” is from the article are what and how the “De₃(的₃)”, the focus of the predicate verb in the adverbial “Laizhe₁(來着₁)” syntax of the predicate verb is the focus. such “De₂(的₂)”, “De₃(的₃)” and time are “Laizhe₁(來着₁)” quality, but also have a car to see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