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官服制의 정비시기와 변천과정 검토 (A study on the organizing period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official uniform system in Baekja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7.08
30P 미리보기
백제 官服制의 정비시기와 변천과정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21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나용재

    초록

    본고에서는 백제 官服制의 정비 시기와 변천과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관복제는 貴賤의 신분 차이를 나타냄은 물론, 관인간의 서열을 구분하기 위한 관등제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제도이므로 백제의 사회상 및 통치구조의 발전 양상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는 주제이다.
    백제는 國王의 服制와 관인의 관복제가 전하며, 후자의 경우 服色(紫·緋·靑)·銀花冠飾, 帶色·銀花冠飾, 帶色·冠色·銀花冠飾, 服色(緋)·銀花冠飾의 형태가 확인된다. 이를 『梁職貢圖』 模本에서 보이는 백제 사신의 모습과 비교해 보았을 때 6세기 중반 이전에는 服色(紫·緋·靑)·銀花冠飾의 규정이 시행되고 있었으며, 이후 帶·冠에 대한 규정이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료에 전하고 있는 백제의 관복제 규정은 官等制의 성립과정 및 五方色의 활용과 관련이 있다. 백제의 관등제 정비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는데, ‘佐平·率系-德系-文督 이하’의 세 개 관등군 설치는 5세기 후반 대에는 성립되었다. 五方色의 경우 官服制에서의 紫·緋·靑色 위계 관계는 劉宋代에 이르러 확인되고, 그 용례가 백제에 전해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는 5세기 후반 개로왕대이다. 3종류의 색을 필요로 할 만큼 관등군의 설치가 이루어졌으며, 그것을 표현하기 위한 紫·緋·靑의 서열 순서가 확인되는 개로왕대를 服色(紫·緋·靑)·銀花冠飾의 규정으로 이루어진 관복제 정비시기의 상한으로 볼 수 있다.
    이후 백제의 관복제는 紫·皂·赤·靑·黃·白의 색상을 활용해 帶와 冠의 규정이 추가 되었다. 北周의 品色衣 제도에 영향을 받아 581년에서 603년의 기간 사이에 개정되었던 것으로서, 이전보다 관등제가 확장된 것에 대응하기 위함이었다. 한편 모든 관인이 緋色의 옷을 입고 銀花冠飾을 착용하는 형태로의 개정은 621~660년의 기간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는 관등의 인플레이션 현상이 관찰되며, 왕권의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던 무왕과 의자왕대에 황제와 신하 간 服色에 차이를 두었던 唐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d the organizing period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official uniform system(官服制) in Baekjae. As the official uniform system represents the status distinction of aristocrats(貴賤) and formed the system visually in order to classify the order among bureaucrats, this will provide clues on the development pattern of society and ruling structure in the era of Baekjae.
    The royal clothing system and the Official Uniform System were performed in Baekjae and the latter system included uniform colors(wine, red, blue)/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belt colors/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belt colors/ official hat colors/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uniform colors(red)/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Compared with ambassadors in the era of Baekjae portrayed in the original paper of Yangjigongdo(an ambassador painting), it appears that uniform colors(wine, red, blue)/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was implemented before the mid 6th century and regulations on belt and official hat were later added.
    Regulations on the official uniform system in the era of Baekjae identified in the historical document is associated with the establishing process of the official rank system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five colors. The modification of the official rank system in Baekjae was progressively conducted. The installment of three official rank groups of “Jwapeyong-Solgye(2nd-6th status)-Deokgye(7th-11st status)-Mundok”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5th century. For five color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wine, red, and blue in the official uniform system was identified in the era of Yusong. The usage was estimated to be transferred to Baekjae in the era of King Gaero, the late 5th century. Official rank groups were installed as three colors were required. The era of King Gaero when the rank order of wine, red, and blue to express this installment can be an upper limit of the organization period of the official uniform system comprised of regulations on uniform colors(wine, red, blue)/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Regulations on belt and official hat were updated to the official uniform system in Baekjae by using wine, black, crimson, blue, yellow, and white colors. Renewed between 581 and 603 influenced by the rank color clothes in the Northern Dynasty, it aimed for coping with the extension of the official rank system. The revision into the form where all bureaucrats wear red clothes with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was implemented between 621 and 660. Official rank inflation is observed herein, and it was affected by the Dang Dynasty wher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Emperor and subordinates in terms of uniform colors in the King Mu and King Uija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