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史』 「樂志」에서 보이는 諸 女人相 (The Image of Women in 『Goryeosa』 「Akj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3.08
38P 미리보기
『高麗史』 「樂志」에서 보이는 諸 女人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1호 / 33 ~ 70페이지
    · 저자명 : 서금석, 이성원

    초록

    이 글은 『고려사』 「악지」에 편재되어 있는 음악 중에서 여인과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여 여러 여인상을 그려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물론 「악지」가 가지고 있는 사료의 시대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찬자들에 의해 선택된 일부라는 점에서 「악지」는 그 자체가 갖는 한계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악지」에 담아낸 음악에 대한 해석은 조선시대 『고려사』 찬자의 의도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악지」에 수록된 여인과 관련된 내용만으로 고려의 여인상을 고스란히 그려내는 것은 제한적인 범위에서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들 노래가 고려에서 불리었던 점을 온전히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악지」가 고려시대에 보여주었던 여인상의 한 단면을 담고 있었다는 점에 대해서도 소홀히 다루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악지의 노래는 고려의 여인상을 읽어내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악지」 중 아악과 당악은 궁중・제례 음악으로 주로 쓰였으므로 대단히 격식을 갖추었을 것이다. 따라서 아악과 당악에 표현되었던 여인만으로 고려의 여인상을 들여다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속악은 흔히 ‘속된 노래’로 당시 일반인과 함께 불렸던 대중가요인 셈이다. 속악에 등장하는 일반 여인과 관련된 노래는 그 여인들이 직접 지어서 불렀다고 볼 수는 없다. 그녀들이 글을 습득할 기회는 없었기 때문이다.
    『고려사』 「악지」는 아악과 당악 그리고 속악에서 聖[서왕모・항아]・貴[충렬왕비・공민왕비]・俗[필부의 아내]의 여인상을 층위를 나누어 보여주었다. 아악에서 보여 주었던 여인은 두 명이었다. 공민왕 12년과 16년에 찬제되어 아악으로 연주되었던 음악에 공민왕의 증조모였던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와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가 그들이다. 제국대장공주는 원나라 공주로서 고려 국왕의 첫 배필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뿐 「악지」에서 그녀에 대한 이미지[象]는 더 이상 찾아 볼 수 없었다. 공주의 등장 의미는 원의 권위를 빌어 고려 국왕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하는 데 있었을 것이다. 다만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는 좀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그녀는 ‘정숙’하고 ‘엄숙’하였으며 ‘화목’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또 그녀는 ‘명랑’하였으며, ‘거동이 착하고 성실’하였다. 그리고 노래는 그녀를 ‘법도가 분명’한 여인으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아악은 그녀의 신분이 貴하였으며, 그녀의 행동도 貴하였음을 보여주고자 하였을 것이다. 아악에서 보여 주었던 공주의 이미지는 속악에서 보였던 匹婦의 이미지와 엄격히 구별되었다.
    「악지」 당악은 궁중 가무희에서 서왕모와 항아를 등장시키고 있다. 중국의 신화적인 불로장생의 여신인 서왕모 신화는 고려 궁중 음악으로 재연되었다. 서왕모 가무희를 통해 고려는 왕업의 번창과 국왕의 장수를 송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왕실의 권위를 높여 통합의 계기로 삼고자 하였을 것이다. 「악지」의 서왕모와 항아는 여신으로써 神母의 이미지였으며, 불사의 여신이라는 聖母의 역할도 함께 하고 있었다. 불사에 대한 염원은 生(출생, 삶)과 관련이 있다. 그 염원은 육신의 삶을 벗어나 내세에까지 도달하고자 하였다. 죽음[死]은 역설적으로 불멸[不死]을 염원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生의 담당자인 여인을 택해 불멸의 동인으로 삼고자 하였던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또 당악은 이상과 사뭇 다른 내용으로 일반적인 풍류와 음색을 노래하였다. 풍류를 노래하는 자리에는 태반 여인들의 등장이 뒤따랐다. 이러한 당악은 여인의 자태를 유혹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당악의 내용 중에는 여인의 기다림을 묘사한 내용이 자주 등장하였다. 여기에서 주목한 것은 궁녀가 수[繡]를 놓고, 여인이 베개와 이불에 수[綉]를 놓은 장면이다. 수를 놓는 작업은 오랜 시간과 숙련을 수반한다. 노래는 이것을 여인의 기다림과 연결 지었다. 수[繡・綉]놓은 일은 상류층 여인들의 일상적인 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당악은 이별과 연애편지를 소재로 하여 노래하였다. 당악에서 보이는 ‘사랑’하는 연인 간의 편지로 알 수 있는 것은 이와 같은 노래를 작사하고 부를 수 있는 부류는 글을 습득하여 활용할 줄 하는 식자층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것은 속악의 남녀관계에서 보이지 않았던 내용들이다. 당대 이후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당・송의 노래인 당악은 고려의 궁중음악과 함께 섞여 연주되었다. 특징 중에 또 다른 하나는 여인은 남성에 대해 사랑의 대상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이다. 즉 여인을 ‘기다리는 모습’과 같이 수동적으로 담아냈는데 반해 남성은 여인의 자태를 적극적으로 탐닉하는 등 여인이 등장하는 노래는 거의 남성 위주에서 바라보았다. 특히 解佩는 여인의 신체의 모든 부분을 남성들의 일반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형용한 유희적인 내용으로 짜여 있다.
    『고려사』 「악지」 서문은 속악 중에 상당 부분의 내용을 비리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악지」는 이와 같은 노래 중 많은 부분을 악지 편성에서 제외시켜버렸으며, 그 가사도 자세히 남기지 않고 제목과 뜻만을 대략 실었다. 속악의 편찬은 節婦나 孝女 등을 노래함으로써 사회 질서 유지에 활용하였다는 혐의가 짙게 깔려 있다.
    속악에 등장하는 고려 여인은 三藏을 제외하고 대부분 남편을 기다리거나 節婦[從夫] 혹은 효녀의 삶을 그려내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이것은 찬자의 개입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노래를 통해 ‘節婦의 의리’와 ‘남편에 대한 기다림’의 숙련은 하층민들에게까지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익숙한 생활 질서가 되었다고 보여 진다. 바로 이것이 찬자의 의도였을 것이다.
    「악지」는 속악편에서 삼국의 노래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삼국의 노래는 고려에서도 여전히 불리어졌다. 삼국의 여인상도 남편에 대해 ‘기다림[望]’의 자세였다. 바로 이들도 匹夫의 아내들이였다. 이들 노래가 『고려사』 「악지」에 실려 불리어졌던 점에서 여인에 대한 길들이기 학습 효과가 여전히 요구되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고려사』 편찬자들의 의도가 개입되었음은 이미 밝힌 바와 같다. 『고려사』 속악은 ‘孝’나 ‘婦道’를 요구하였던 시대적 요구에 동원되어 여인상을 그리는데 일조하였다고 보여 진다. 많지 않는 삼국의 노래 내용이지만 이것을 통해 고려가 삼국 시대의 여인상을 어떻게 그려내어 고려 사회에 접목시키고자 하였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이점은 『고려사』 찬자의 의도와도 맥락을 같이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purposed to describe some images of women by examining the lyrics related to women from the music described in 『Goryeosa』 「Akji」. But despite of the times as a historical material, 「Akji」 already includes some limitation itself in that it is part chosen by the compilers. Thus, to interpret the music described in 「Akji」, we should notice the compilers’ intention of 『Goryeosa』 in Joseon dynasty. It is hard to deny that the songs were sung in Goryeo dynasty although they described the limited images of Goryeo women in the words related to women in 「Akji」, We. therefore, should not neglect the fact that 「Akji」 described a certain image of women in Goryeo dynasty. In this viewpoint, the songs shown in Akji are quite important information to read the image of Goryeo women.
    Aak and Dangak in 「Akji」 were usually used as Court and Ritual Music, which means they were quite formal. Thus, there is some limitation in reviewing the image of Goryeo women by using only the descriptions of the women expressed in Aak and Dangak. Sokak usually called as ‘a worldly song’ was kind of a popular song sung by the public that time. The songs related to women in Sokak might not have written by the women themselves as they had no opportunity to learn letters.
    『Goryeosa』 「Akji」 shows distinguished image layers of the women as Holy [SeowangmoㆍHangah]ㆍNoble [Queen of ChungryeolㆍQueen of King Gongmin]ㆍWorldly [ordinary man‘s wife] in Aak, Dangak, and Sokak. Aak describes two women. They are King Gongmin’s great grand mother as Queen of King Chungryeol, Princess Jekukdaejang and Queen of King Gongmin, Princess Nokukdaejang described in the music played as Aak compiled between the 12th year and 16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Princess Jekukdaejang has been regarded as significant in that she became the first spouse of Goryeo King as a princess of Yuan dynasty, but there is little image of her described in 「Akji」. The meaning of revealing her seems to have shown Goryeo King’s authority by borrowing the power and authority of Yuan dynasty. But Queen of King Gongmin, Princess Nokukdaejang is described in detail. That is, she is described as ‘chaste’, ‘grave’, and ‘peaceful’, and added that she was ‘cheerful’, ‘kind’, and ‘sincere’. The song also tried to describe her as ’a woman of strict regulations’. Aak intended to show that her behavior as well as her position was noble. The image of the princess described in Aak was strict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an ordinary man’s wife shown in Sokak.
    「Akji」 Dangak shows Seowangmo and Hangah in performance of the Court Play. Chinese Seowamgmo Myth describing the legendary goddess of eternal youth was repeated in Goryeo Court Music. Through Seowangmo Play, Goryeo seems to have intented to not only bless the prosperity of Kingship and King’a longevity, but also provide a momentum for the unity by increasing the royal authority. Seowangmo and Hangah in 「Akji」 were described as the image of a goddess, Holy Mother and they played a role as the Holy Mother called the Goddess of Immortality. The desire of immortality is related to life (birth, life). The desire was to get out of bodily life and reach the future life. Paradoxically, death played as the motive power of the desire of eternal life. This is why they chose a woman in charge of birthing to make a motive of eternal life.
    Dangak also shows general music and tone color quite different from what is mentioned above. There usually appeared women where there required songs. Dangak expressed the figure of a woman temptingly. And some of them often described the waits of a woman. What is to notice here is the scene of a court lady keeping embroidery and a woman embroidering on pillow and quilt covers. Embroidery usually takes quite a long time and some skill. The songs connected that to the waits of a woman. It can be estimated that embroidery was a daily life for the women in the upper classes that time.
    Dangak also sings words based on separation and love letters. What we can guess through the love letters between lovers shown in Dangak is that those who could write and sing such songs would be intelligent people who could learn and use letters. Such contents never appeared in the relation of the sexes in Sokak. Dangak as DangㆍSong songs originated from Dang dynasty was played with Court Music of Goryeo as mixed. Another feature of Dangak is that a woman is described as a subject of love for a man. That is, women were described as passive as ‘awaiters’, while men actively indulged in women’s feature, which reflected men’s point of view. Especially, Haepae is consisted of the contents describing all the parts of a female body as playful according to men’s general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preface of 『Goryeosa』 「Akji」, they regard some contents in Sokak as mean. Thus, quite a few parts of such songs were excluded from 「Akji」, and the words were not left down except the titles and the meanings briefly. The compilation of Sokak chants a virtuous woman and a filial daughter, which implies that it was used to keep social order.
    Descriptions of Goryeo women in Sokak except Samjang mostly focused on the life of a woman waiting for her husband or a virtuous woman [obedient to her husband], or a good daughter. That w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iler’s intention. It can be supposed that such songs would have ‘the duty of a virtuous woman’ and ‘the waits for a husband’ soak into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naturally enough to be the familiar social life, which would be what the compiler intended.
    「Akji」 also introduced the Three States songs in Sokak. The Three States songs were still sung in Goryeo. The image of women in the Era of The Three States was also the same image as a woman waiting for her husband [expectance]. They were just wives of ordinary men. It is possible to regard that there still required learning effect to have women accustomed to the image in that the songs were recorded in 『Goryeosa』 「Akji」 to be sung. This study already mentioned that it can not help including the compilers’ intention of 『Goryeosa』. 『Goryeosa』 Sokak was used and mobilized to describe the image of women as ‘filial piety’ or ‘the duty of a woman’ required at the times. Through few words of the Three States songs, we can guess how Goryeo described the image of the women in the era of the Three States and tried to graft that into Goryeo society. That was in the same context as the compilers’ intention of 『Goryeo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