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中․日 中世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Medieval Korea, China and Japa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9.03
36P 미리보기
韓․中․日 中世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3호 / 341 ~ 376페이지
    · 저자명 : 이종봉

    초록

    한․중․일 중세시기 도량형제의 비교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기 도량형은 국가의 주도로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제작하였는데, 중앙의 경우 고려는 京市署가, 송․원대는 太府寺와 工部가, 평안․겸창기는 大藏省에서 담당하였고, 지방은 각 지역의 國司가 담당하였다.
    둘째, 척의 단위는 ‘촌․척’을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이하도 마찬가지다. 고려의 척은 분화하지 않고 기존의 唐大尺을 營造, 布의 수취, 그리고 量田 등에 공용하다가, 12세기 이후 金尺을 형장식의 사용과 指尺을 量田尺으로 사용함으로써 量田尺과 營造用의 尺(=布帛尺) 등이 존재하였다. 송은 당대의 척을 계승하였으며, 이러한 척을 三司尺 혹은 三司布帛尺 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고, 당의 小尺을 天文用 척으로 사용하였다. 원대의 척은 명칭을 알 수 없지만, 송대보다 약간 길어졌다. 평안․겸창․남북조기는 이전의 당대척과 고구려척을 계승하여 사용하였다. 3국의 척은 이전의 시기보다 길었고, 용도별 명칭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피의 단위는 斗 이하는 동일하였지만, 斗와 石은 고려가 15두=1석이지만, 송․원대와 평안․겸창기는 10두=1석이지만, 송대는 5두=1斛도 사용되었다. 1승의 용적은 고려가 약 0.34ℓ인 반면, 송․원대는 약 0.7ℓ와 1ℓ 내외였고, 平安․鎌倉․南北朝期는 약 1.1ℓ 혹은 1.4ℓ 정도였다.
    넷째, 저울의 단위는 1근 16량을 사용하였다. 량 아래의 단위는 고려에서 원의 저울 도입과 『경국대전』에 십진법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십진법을 사용하였고, 송․원에도 십진법을 사용하였고, 일본 중세도 그럴 가능성이 많다. 1근의 중량은 약 600g 정도에서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medieval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the measuring instruments in medieval Korea, China and Japan were made 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under state control. The central managements were undertaken by the Bureau of the Capital Markets(京市署, Gyeongsiseo) in Goryeo dynasty, Court of the Imperial Treasury(太府寺, Tàifǔsì) and Ministry of Works(工部, Gōngbù) in Song and Yuan dynasty and Ministry of the Treasury(大蔵省, Ōkura-shō)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And the local of 國司 were assumed by each major region.
    Secondly, Chon-Cheok(寸尺) were centrally used as the units of the ruler(尺) in the medieval. Goryeo dynasty did not divided them separately, and so used commonly the big ruler of Tang dynasty(唐大尺) as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the fabric measuring ruler(布帛尺), the land surveying ruler(量田尺), etc. After the 12th century, there were finally various ruler such as the land surveying ruler and the woodworking ruler(=the fabric measuring ruler), etc. And the golden ruler(金尺) was used as a decoration and the finger length ruler(指尺) was used as the land surveying ruler. Keeping to use the ruler used in the Tang dynasty, Song dynasty used widely it while calling ‘the three office’s ruler(三司尺)’ or ‘the three offices’ cotton and silk ruler(三司布帛尺)’, etc. And the small ruler(小尺) used in Tang dynasty was used for an astronomy. The name of ruler in Yuan dynasty was not known, but its length was slightly longer than that in Song dynasty. The big ruler of Tang dynasty and the ruler of Goguryeo(高句麗尺) have been used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The ruler of Korea, China and Japan, as their common characteristic, was somewhat longer than ever and have not names by use as yet.
    Thirdly, in the medieval, the volume units of less than Du(斗) were the same, but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each country. In Goryeo, 15Du=1Seok(石), while in Song and Yuan Dynasty and Heian and Kamakura periodes, 10Du=1Seok. Song dynasty, however, calculated as 1Gok(斛)=5Du. And the volume of 1Seung(升) was about 0.34ℓ in Goryeo, while in Song and Yuan dynasty was about 0.7ℓ~1ℓ, and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was about 1.1ℓ, 1.4ℓ.
    Fourthly, the scale unit in the medieval was 1 Geun(斤), which was 16 Ryang(兩).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scale of Yuan to Goryeo and decimal system in Gyeongguk Daejeon (經國大典), it suggested that Goryeo used decimal system in units less than Ryang and Song and Yuan used also decimal system. And It is more likely that the medieval Japan also did the same. The weight of 1 Geun was about 600g, in which there were no much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