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驛道制의 정비 과정과 그 성격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stal System Routes during Early Chosŏn)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09
51P 미리보기
조선 초기 驛道制의 정비 과정과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4호 / 79 ~ 129페이지
    · 저자명 : 양정현

    초록

    조선에서는 국초부터 驛을 관리하는 제도로서 驛道制를 운영하였다. 驛道는 지리적 조건과 교통로 및 수송·전달체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몇 개씩의 역을 묶어 관리하는 행정단위였다. 개별 역은 지리적으로는 군현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수령이 그것을 관할하는 것이 아니라 역만으로 구성된 별도의 행정단위로 편제되어 중앙에서 파견한 전담 외관의 관할 하에 있었다.
    고려 말에 개별 역을 단위로 관원을 파견하여 관리하던 방식은 조선 건국 이후 변화하여, 역도를 단위로 한 관리체계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게 되었다. 태종~세종대에는 주요 역도에 찰방을 파견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적용되었고, 전국의 교통·통신 시설에 대한 관리 체계가 역도제로 일원화되었다. 이후 세조대에는 각 역도의 관할 영역을 재편하는 조처가 연속적으로 행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재편 과정을 거쳐 『경국대전』의 역도 체계는 소속 역의 기능과 중요도에 따라 찰방도와 역승도 간 차등적인 유형이 설정되게 되었다. 또한 역도 관할 관원에 대한 평가 체계가 강화되면서 역도와 관찰사도간의 소속관계가 명확해지고, 개별 역도의 관할 범위는 소속 관찰사도의 영역을 넘어 가지 않도록 조정되었다. 이를 통해 驛-驛道-觀察使道로 이어지는 관리체계가 정립될 수 있었다. 이러한 관리체계의 정립은 곧 역도가 관찰사도 휘하에서 개별 행정단위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음을 의미하였다. 역도 체계가 지방통치체제의 틀에 맞는 형태로 정착하게 됨으로써, 각 역도의 세부 편제 내용은 지방행정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고정되는 속성을 지니게 되었다.
    요컨대 조선 초기 역도제의 정비 과정은 개별 역이 정상적으로 기능·유지되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 단위를 찾아가는 과정이며, 그 결과가 지방행정체계를 구성하는 내용으로 고정됨으로써 일단락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시기 순으로 살펴보면, 국초에서 세종대까지는 개별 역에 대한 관리체계를 설정, 적용하는 과정이었고 이어서 세조대에서 성종대에는 역 관리단위를 대상으로 한 정비가 이루어져 『경국대전』의 역도 체계가 성립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ostal system route (yŏkto) was the institutio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postal system from the outset of the Chosŏn dynasty onwards. The Postal system route was an administrative unit under which a few post stations were bundled together based on factors such as common geographical conditions, transportation roads, transfer and delivery systems.
    The management of post stations based on the dispatch of government officials to individual post stations that had prevailed during the final period of Koryŏwas jettison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hosŏn dynasty in favor ofpostal system route-based management. Chiefs of post stations (ch'albang) were commonly dispatched to the major postal system routes from King T'aejong to King Sejong. The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nationwide was unified under these postal system routes. Thereafter, the restructuring of the jurisdiction of each postal system route was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aftermath of these restructuring processes, the postal system route was described in the National Code (Kyŏngguk Taejŏn) as the post stations controlled by the chief of the post station (ch'albang) and the post-station clerk (yŏksŭng) depending on the functions and importance of the post station. In addition, the strengthening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postal system routes helped make the relations between the postal system routes and local governor-controlled routes clearer. Steps were taken to ensure that the sphere of jurisdiction of individual postal system routes did not to extend into that of local governor-controlled routes. It was in such a manner, the management structure made up of post station- postal system route- local governor-controlled route came to be established. As the postal system route became more entrench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ocal ruling system,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individual postal system routes started to take on the formal attributes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al system rout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Chosŏn can be perceived as a measure to create an effective management unit in order to ensure the smooth functioning and maintenance of individual post stations. In the end, they in fact became a component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pproaching these processes from a chronological standpoint, the period from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to the reign of King Sejong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that in which the management system for individual post stations was established and managed. The coordination and complementation of the postal system routes, which servedas a post station management unit from King Sejo to King Sŏngjong, wer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the postal system routes found in the National Code (Kyŏngguk Taejŏ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