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엉클 톰스 캐빈』의 기독교와 노예제 (Christianity and Slavery in Uncle Tom’s Cab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5.09
23P 미리보기
『엉클 톰스 캐빈』의 기독교와 노예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0권 / 3호 / 147 ~ 169페이지
    · 저자명 : 안동현

    초록

    본고는 『엉클 톰스 캐빈』에 나타난 기독교와 반노예주의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 소설은 기독교 관점에서 노예제를 비판한 사회개혁 소설이자 엉클 톰과 에바라는 두 인물을 통해 기독교적인 이상을 형상화한 기독교 알레고리이다.
    스토는 흑인노예들도 역시 하나님의 자녀라는 생각을 부인하고 그들을 다른 인간의 소유물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노예제가 일종의 신성모독적인 제도라고 본다. 또한 스토가 보기에 노예제는 결혼과 가족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에 위배된다. 노예제도는 가족 성원들을 뿔뿔이 흩어지게 만듦으로써 흑인 가족을 파괴하며, 백인 가정들 또한 노예제로 인한 남성 노예주의 성적인 타락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이다.
    『엉클 톰스 캐빈』에서 스토는 거의 알레고리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엉클 톰과 에바에게 구현된 기독교적인 이상을 모범으로 보여줌으로써 독자를 교육한다. 성경적인 유형화와 알레고리를 통해 스토는 노예문제에 있어서 확실한 입장을 정하지 못한 독자들에게 반노예제의 생각을 불어넣고자 노력한다. 알레고리적 인물형상화는 노예제도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독자들에게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 소설은 전형적인 미학적 완결성을 추구한 문학 작품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설교적인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소설 속 사건들에 대한 적극적인 해설자로 나서며 더 나아가 미국 국민들을 향해 설교하는데, 그 설교의 기반이 되는 것은 종말론이다. 스토는 당대의 독자들에게 최후의 심판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노예제에 반대하도록 요청한다. 19세기 미국 백인으로서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스토는 기독교도 작가로서 노예제라는 사회적 부정의를 제거하려고 노력했다. 『엉클 톰스 캐빈』은 기독교 신앙에 기반한 문학작품을 통해 사회변화를 이끌어낸 위대한 성취로 기독교 문학사에 기억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abolitionism in Uncle Tom's Cabin. The novel is a Christian literary work in that it is a social criticism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and at the same time a Christian allegory which embodies a Christian ideal through Uncle Tom and Eva.
    Stowe regards slavery as a kind of blasphemy because it denies that African Americans are also children of God. From Stowe’s Christian point of view, African Americans must not be treated as someone else’s property. Slavery also opposes the biblical view of family and marriage. Slavery destroys African American families by tearing apart their family members. White families were also corrupted by the sexual depravity of male slave-owners.
    Uncle Tome’s Cabin embodies the Christian values through Uncle Tom and Eva. Stowe educates readers by showing them the Christian values exemplified in the heroes who are almost allegorical figures. Through biblical typology and allegory, Stowe tries to instill anti-slavery ideas into her readers that are on the fence in regards to slavery. Allegorical characterizations make clear what is right and to be done about the institution of slavery.
    The novel can be seen as a ‘sermonic novel’ rather than a piece of literature with typical artistic features. The basis of this sermon is eschatology. Stowe asks her contemporary readers to act positively against slavery with the last judgment in mind. Despite the limitations of being a white in the 19th century, Stowe endeavored to get rid of the social injustice of slavery as a Christian writer. What she achieved in Uncle Tom’s Cabin should be remembered as a great accomplishment in Christian literar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앙과 학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