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전기 공주 책봉제의 시행과 의의 (Enforcement and Significance of the installation system of the “Gongju”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0.06
41P 미리보기
고려전기 공주 책봉제의 시행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16호 / 249 ~ 289페이지
    · 저자명 : 신혜영

    초록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 공주는 왕녀가 태어나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칭호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공주 칭호의 성격과 변화는 본격적인 연구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공주는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고려는 자국의 상황에 맞게 이 칭호를 수용하여 정착시켰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공주 책봉제를 고찰하였다.
    고려는 신라의 영향을 받아 국초부터 공주 칭호를 사용하였다. 태조~성종의 왕녀들은 왕의 딸을 의미하는 칭호로 공주로 불렸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책(册) 혹은 봉(封)되지 않았다. 그러다 현종의 왕녀 기록에서 한국사 최초의 공주 책봉 사실이 확인된다. 늦어도 이 시기부터 공주 책봉제가 시행되었으며 공주는 책봉을 통해 부여되는 지위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해 아래 고려전기의 공주를 분석한 결과 현종 이후 모후의 신분이 양인 이상인 왕녀만이, 선종 이후 제1비와 제1비에 준하는 후비 소생의 왕녀만이 공주로 책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황제의 딸이면 모두 공주로 불렸던 중국과는 다른 양상이다.
    고려는 「책왕자왕희의(冊王子王姬儀)」를 설행하였다. 중국과 고려의 것을 비교한 결과 중국은 황녀의 혼인과 유관하며 봉호를 내리는 제도였다면, 고려는 왕녀의 혼인과 무관하며 공주 그 자체를 내리는 제도였다. 그러므로 해당 예식을 통해 왕자가 공(公)・후(候)의 작위를 받은 것과 동일하게 공주 칭호도 왕녀에게 주어진 작위로 이해하였다.
    이처럼 고려는 중국에서 기원한 공주 칭호와 책봉제를 수용했지만 그 실상은 매우 달랐다. 중국은 동기의식이 형성된 부계 중심의 사회였다면 고려는 양측적 친속 사회였기 때문이다. 현종대 왕녀의 서열화를 위해 공주 책봉제를 시행할 때, 부계로는 왕의 딸로서 차등이 없자 모후의 신분을 중시한 것이다. 그리고 선종 이후 유교화의 진전, 예제의 정비 그리고 정치적 필요성에 의해 모후의 지위까지 강조하게 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려의 공주는 책봉을 통해 왕녀 중 일부만이 오를 수 있는 특수한 지위였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It has been a general belief that in the history of Korea the title of ‘Princess’ was automatically given to any female who was born as the offspring of the King. So there was no need to indulge oneself in the study of the title’s historical nature or changes it went through. But the title of “Gongju” (‘Princess’), which originated in China, was embraced by the Korean people and then reinterpreted to fit Korean social parameters. This article is a historical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ion of Gongju Entitlement.
    Since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the Goryeo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used the title ‘Princess,’ following Shilla practices. Daughters of the kings since the day of founder King Taejo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 were called as ‘Princess(Gongju),’ yet they received no titles(册) or entitlements(封).
    Then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e first ever case of the King’s daughter being ‘entitled as’ a Gongju(princess) figure in Korean history occurred. This case allows us to assume that it was only then when the official institution of entitling Gongju figures was initiated, and that the status of ‘Gongju’ turned into not a hereditary one but an entitled one. Further analysis -on the Gongju figures in the Goryeo period’s early half- based on this hypothesis reveals that since the reign of King Hyeonjong only the Kings’ daughters whose mothers were above the status of commoners, and then later, since the reign of King Seonjong only daughters of the first queen -or royal concubines granted with such status- were entitled as Gongju figures. This was a practice clearly different from its Chinese counterpart where all daughters of the Emperors were acknowledged as Gongju figures.
    Goryeo observed the Ritual of Entitling Wangja and Wanghi Figures(冊王子王姬儀). While the Chinese version was related to the Emperor’s daughter’s marriage, and was an institution providing her with an entitlement, the Goryeo version had nothing to do with marital arrangements, and was an institution providing her with the Gongju identity itself. So, just like the ritual through which a King’s son would receive the title of Gong(公) or Hu(候), the Gongju was also a title selectively given to certain daughters of the King.
    As we can see, Goryeo imported the Gongju title and the entitlement system from China, but operated the system very differently. It may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while China was a patriarchal society where the consciousness of ‘shared essence’ was strong, Goryeo had a bilateral kinship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it became necessary to rank the King’s daughters, so the Gongju Entitlement system was embraced, and as it was needed to differentiate some daughters of the King from the others, the status of their mothers were used as a foundation to selectively apply the Gongju title to them, as such new identity would positively differentiate the recipients of such identity from those who did not receive it. Later, since King Seonjong’s reign, the required status of the mother was even heightened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political necessity, reforms in ritual protocols, and advances in Confucian expertise.
    It is clear that the status of ‘Princess’ in Goryeo was to which only a few among others could r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