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ʻʻ건강가정ʼʼ 연구동향 분석: 제1차~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시기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Healthy Families Using LDA Topic Modeling: Focusing on the Periods of the 1st to 4th Basic Plans for Healthy Familie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4.11
8P 미리보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ʻʻ건강가정ʼʼ 연구동향 분석: 제1차~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28권 / 4호 / 83 ~ 9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아, 권순범

    초록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20주년을 기념하여, 그동안 건강가정 관련 연구의 동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CI 학술 DB에 등록된 논문 중 국문 초록에 ʻʻ건강가정ʼʼ이나 ʻʻ가족센터ʼʼ가 포함된 186편을 NetMiner 프로그램으로 수집하였고, 데이터 전처리를 거쳐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이 시작된 2006년 1월 1일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의 논문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가정 관련 논문은 제1차 시기(2006-2010년) 34편, 제2차 시기(2011-2015년) 41편, 제3차 시기(2016-2020년) 57편, 제4차 시기(2021-2024년) 54편으로 수집되었으며, 시기가 거듭될수록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코사인 유사도와 해석 가능성을 고려하여 LDA 토픽 모델링 결과를 6개 주제로 구분하였다. 토픽 1은 ʻʻ건강가정기본법을 통한 국가의 제도적 보장과 규정ʼʼ, 토픽 2는 ʻʻ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과 평가ʼʼ, 토픽 3은 ʻʻ부모의 자녀 양육 및 학습 지원ʼʼ, 토픽 4는 ʻʻ사업의 효율성 및 직무 만족ʼʼ, 토픽 5는 ʻʻ상담 치료 및 아버지 프로그램ʼʼ, 토픽 6은 ʻʻ가족정책과 사업관련 담론ʼʼ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각 시기별로 건강가정 연구동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건강가정기본계획 시기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건강가정정책의 맥락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건강가정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nactment of the Healthy Families Act,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healthy families. Using the NetMiner program, 186 papers containing the terms ʻʻhealthy familyʼʼ or ʻʻfamily centerʼʼ in their abstracts and register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cademic database were collected. Data preprocessing was performed, followed by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The analysis covered paper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2006, the start of the first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and April 30, 2023.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healthy families has become more active over time, with 34 papers in the first period (2006–2010), 41 papers in the second period (2011–2015), 57 papers in the third period (2016–2020), and 54 papers in the fourth period (2021–2024). Second, based on cosine similarity and interpretability, it was found that six topics provided an optimal classification for the LDA topic modeling results: Institutional Support and Regulation Through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Program Satisfaction and Evaluation, Parental Support for Child Rearing and Learning, Family Programs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Counseling Therapy and Father Programs, and Discourse on Family Policy and Related Proje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research trends on healthy families according to each period of the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Fourth, differences in research trends on healthy families were observed across the different periods of the master pla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each period of the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provid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surrounding healthy family policies. The findings serve as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