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先蠶祭 정비와 시행 의미 (The Significance of Organizing and Conducting the Joseon Era Seonjamje Ceremonial Rit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5.03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先蠶祭 정비와 시행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7호 / 171 ~ 198페이지
    · 저자명 : 임혜련

    초록

    선잠제는 양잠의 신 서릉씨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제사는 선잠단에서 지냈다. 그 시기는 매년 3월 첫 번째 巳日이었다. 선잠제는 제사의 대상이 여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선잠제를 지내는 것은 백성들에게 양잠을 권장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풍요롭게 살기를 바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선잠제는 조선왕조에서 국가의 의례로 정비되었다. 조선의 의례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오례’라고 했다. 제사를 지내는 의례는 ‘길례’였다. 선잠제는 그 제사의 규모가 중간에 해당했고, 제사의 대상은 사람, 곧 인귀였다. 그러므로 길례의 중사로 정해졌다. 선잠제에 대한 논의는 태종대부터 시작되어 세종대 『세종실록』 「오례」에 정리되었다. 이후 수정을 하여 『국조오례의』로 법제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선잠제의 의미와 의식은 강화되었다. 선잠제를 지냈던 선잠단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그렇지만 옮기지 않고 현재 성북동의 ‘先蠶壇址’에서 제사를 지냈다.
    선잠제는 제사의 대상은 여성이지만 제사를 지내는 주체는 국왕이었다. 그러나 제사의 규모가 중사였기 때문에 관료를 보내어 대신 지내게 하였다. 이런 것을 섭사라고 한다. 선잠제는 매년 지내야 하겠지만 기록을 보면 그렇지 못하였다. 다만 세조와 명종은 상대적으로 자주 선잠제를 지냈다. 세조는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19세기에는 선잠제가 거의 매년 시행되었다. 왕권이 약한 대신에 의례를 강화하였기 때문이다.
    선잠제 시행에서 큰 변화는 1767년(영조 43)에 있었다. 이 해에는 왕비가 친잠례를 치르게 되었다. 이때 영조는 왕비가 직접 선잠제를 치르도록 하였다. 이것은 조선에서는 유일한 일이었다. 이때 왕비였던 정순왕후는 직접 술을 올리는 선잠작헌례를 시행하였다. 조선시대 선잠제는 백성을 위하는 민본정치를 반영한 것이다. 또한 백성들의 의생활을 걱정하고 장려하였던 정책이 의식으로 완성된 것이었다.

    영어초록

    Seonjamje is a rite of worship of Seoreungssi, the deity of sericulture. The rite was conducted at the Seonjamdan. The rite was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snake in March each year. Seonjamje is notable in that the subject of worship is female. The purpose of the rite is to promote sericulture amongst the people in the hope that they would lead a bountiful life.
    Seonjamje was first organized as a national r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ites of the Joseon era were divided into five major categories. The ancestral rites were known as Gil-rye. Seonjamje was of medium size. Therefore it was designated as a medium-size rite among Gil-rye. Discussion on Seonjamje began during Taejong’s reign and was formalized in the “Five Rites” listed in the Sejonsillok, during Sejong’s reign. It was later modified as part of the Five National Rites and was entered into law. During the process, the meaning and formality of Seonjamje were strengthened. Moving the Seonjamdan, where Seonjamje was held, was a topic of discussion. However, the decision was made not to move it, and currently the rites are held at the Seonjamdan-ji in Seongbuk-dong.
    While the subject of worship in Seonjamje is female, the officiator of the rite is the King. However, since the rite is of medium size, a government official is sent to officiate the rite. This is known as Seopsa. Seonjamje should be held each year, but the records indicate otherwise. However, Sejo and Myeonjong conducted Seonjamje relatively frequently. In Sejo’s case, he sought to strengthen his sovereignty. In the 19th Century Seonjamje was held almost every year. While the crown was weaker, formality was stronger.
    The greatest changes in Seonjamje happened during the 43rd year of Yeongjo’s rule. At that time, the Queen began to conduct Chinjam-rye. Yeongjo had the Queen personally conduct Seonjamje as well. This was a unique event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e Queen at the time, Jeongsun conducted Seonjamjakheon-rye, where an offering of wine is made personally. The Seonjamje of the Joseon Dynasty was a rite for the people, to fulfill the idea of a nation for the people. It was a policy that concerned itself with the availability of clothing for people made manifest as a ceremonial r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