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1회-제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에 나타난 과학기술 수용의 양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Scientific Technology Acceptance in the First-Third Seoul Mediacity Bienna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2.10
26P 미리보기
제1회-제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에 나타난 과학기술 수용의 양가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67권 / 82 ~ 107페이지
    · 저자명 : 배수희

    초록

    본 연구는 제1회-제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의 분석을 통해서 1990년대 말-2000년대 전반 한국미술에서 과학기술을 수용하면서 보인 양가적 인식에 대해 고찰한다. 1990년대 도시정부 서울은 미래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도시를 상상했다. 도시정부의 상상은 시 외곽에 위치한 ICT 클러스터 ‘디지털미디어시티(DMC)’로 현실화되었고 예술-과학기술-산업이 융합된 문화콘텐츠 산업으로서 비엔날레를 기획했다. 이는 도시개발 계획에 대한 지지를 유도하려는 상징정치의 행위이며 사업의 실현가능성보다 사업을 만들고 추진하는 행위, 즉 수단적 행위의 상징성을 더 중시한 것이다. 상징정치의 행위로서 비엔날레와 미술전시로서 비엔날레의 의미 경합은 초기 3회 전시 총감독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에서 긍정과 부정의 양가적 태도로 표출되었다. 그들은 양가성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에 대해 신비주의적이거나 낭만주의적 시각을 취하고 신체와 치유 같은 인간의 자질과 자연을 강조했으며 이를 전시의 주제나 전시 디자인에 반영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mbivalence about scientific technology acceptance that appeared in Korea’s art field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focusing on the first to third Seoul Mediacity Biennale. In the 1990s, the urban government of Seoul envisioned its future vision as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ity. The conception was realized by developing the ICT cluster Digital Media City (DMC)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At the same time the urban government planned the Biennale as a kind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which art,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y converge. This was an act of symbolic politics to receive support for the urban planning. Also, it was to focus on the act of making and promoting the project, in other words the symbolism of the instrumental action, rather than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Therefore, the Biennale became the sphere where two senses, an act of symbolic politics and an art exhibition competed, and then it was expressed as the artistic directors’ ambivalent attitudes towards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first three exhibi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the ambivalence, they adopted mystical or romantic perspectives, emphasized nature and human qualities such as the body and healing, and then applied them in the exhibition themes or the display des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