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각사 창건 시점에 관한 제문제 (Some issues of the start of Taegak-sa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07.12
39P 미리보기
대각사 창건 시점에 관한 제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10호 / 245 ~ 283페이지
    · 저자명 : 한태식

    초록

    용성선사는 그동안의 山中禪會를 정리하고 48세에 서울로 상경하여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이 다른종교의 집회장소인 교회와 성당이었다. 여기서 불교의 열세함을 절감한 그는 도시포교의 원력을 세우게 되었으며, 처음으로 실천한 곳이 姜氏 신도집이었다. 포교 석 달이 채 못 되어 수백명의 신도를 교화하였다. 신도집에서는 한계가 있으므로 康永勻 집으로 이사하여 선종포교의 법규를 정하고 참선포교를 시작하였다. 아마도 이 집의 주소가 嘉會洞 211번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1911년부터 1922년까지 주석하면서 1912년에는 寺洞 朝鮮臨濟宗中央布敎堂의 開敎師長으로 포교사가 되었으며, 한용운과 함께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수천명의 신도들을 교화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포교영역을 좀 더 깊이 있게 넓히고, 체계화하기 위해 대각사를 창건하게 된다. 처음에는 봉익동 1번지에 대각사를 창건하였다. 대각사의 창건년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1911년 4월 8일설과 1914년 창건설과 1916년 창건설이 있었다. 이 세 가지 설중에서 가장 신빙성이 있고, 명확한 것이 1916년 창건설이다. 다른 것은 타인에 의해 정리 된 것이지만, 1916년 설은 본인의 구술로 직접 언급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대각사의 창건년대를 1916년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1919년 3,1운동 민족대표 33인중 한 사람으로 철창생활을 하다가 3년만에 출옥하여 보니 봉익동 1번지의 대각사를 이미 매각되고 말았다. 그는 다시 가회동 211번지로 가 있으면서 1922년에 봉익동 2번지에 대각사를 재창건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본격적인 포교와 전법, 역경, 독립운동, 불교개혁운동, 항일운동과 더불어 대각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영어초록

    Zen master Yong-Sung finished his practice in the mountain, and went to Seoul. At first he visited church and cathedrals. He realized how Buddhism fell far behind, and made a firm vow of dissemination in the cities. Before three months, he developed hundreds of Buddhists at a layman's house. He started to build the Taegak-sa temple in order to broaden and systematize the areas of dissemination.
    Regarding the first of year of building the Taegak-sa temple, some says April 8, 1911, while others 1914, and 1916. Among them 1916 is the strongest because the master himself told about it. Therefore, we cannot help but accept the starting year as 1916. After he was released from the prison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the Taegak-sa temple was already abolished. He rebuilt the Taegak-sa temple at 2 Bongil-dong in 1922. Here he earnestly conducted dissemination, teaching of dharma, independent movement, Buddhist refreshment movement, struggle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as well as Taegak-Kyo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