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풍토록'의 텍스트 비평 (A Textual Criticism on Jeju Pungtor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9.09
38P 미리보기
'제주풍토록'의 텍스트 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2권 / 3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김덕수

    초록

    충암이 제주에서 제작한 한시와 <제주풍토록>은 익명성과 모호성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기묘사림에 대한 훈구파의 감시와 압박 때문에 대상 인물의 흔적을 애초에 지워 버렸기 때문이다. 더욱이 <풍토록> 원본이 행초로 적혔거니와 결락된 부분이 많은 탓에 탈초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오류가 발생했다. <풍토록>은 제주 풍토를 기록한 것으로 충암이 외질에게 답장 형식으로 보낸 편지로 알려져 있으나 일단은 상대방이 외질이 아닐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한다. 충암은 사사되기 직전인 1521년 9월에서 10월 사이에 <풍토록>을 저술했다. <풍토록>을 찬술하며 『본초강목』과 『동국여지승람』 등을 활용했다. 충암에게 제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인물은 고근손, 문세걸, 방순현, 여러 익명의 제주 백성들이다. 정온, 허목, 김성구, 이해조, 남구명 등의 저술과 『탐라지』,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에서 <풍토록>을 적극 인용하고 있다. <풍토록>은 후대 문인들에게 폭넓게 읽혔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편지를 받고 답장의 형태로 제주 풍토를 기술하던 방식이 후대 문인들에게 모의되기도 했다. 김성구의 <남천록>과 이해조의 한시 주석, 이규경의 기사는 <풍토록> 텍스트의 모호한 표현과 오류를 수정하는 데 유익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이규경은 <풍토록>을 활용하되 불확실한 부분을 보충하고 새로운 정보까지 추가하면서 실학자다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훗날 제주에서 기록되거나 제주를 소재로 찬술된 각종 시문에서 <풍토록>을 자주 인용했고 문학 소재로서 활용했으며 충암이 기술한 제주 풍토의 특징 및 개인적 견해는 후대 잡록류나 읍지류에서 공론처럼 정리되곤 했다. 현전하는 <풍토록> 텍스트에는 여러 층위의 오류가 내재되어 있다. 중간본 간행 시, 초간본의 오류나 어색한 표현을 상당부분 수정하기도 했으나, 초간본의 합당한 표현이 엉뚱하게 판각된 사례도 보인다. 그리고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입력본 DB를 제작할 때 문집의 글자를 오독한 경우도 눈에 띈다. 이밖에도 불완전한 표현과 글자들이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애초에 행초로 적힌 편지가 일부 손상되었고 훗날 그것을 탈초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여겨진다. 따라서 <풍토록>을 읽을 때 텍스트 오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교감에 만전을 기해야 하거니와,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풍토록> 정본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구가 집적되어도 도출된 결과가 사상누각이 되기 십상이다.

    영어초록

    The Jeju Pungtorok describes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It is possible that it is a replay from Choongam to his nephew,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it could be directed to someone else than the nephew for now. Choongam wrote the Jeju Pungtorok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1521 shortly before he was put to death by poison. He referred to Boncho Gangmok and Dongguk Yeoji Seunnam when writing the book. The people who provided Choongam with the information about Jeju are Geun‒son Goh, Se‒geol Moon, Soon‒hyeon Bang, and the unnamed people of Jeju. The Jeju Pungtorok has been widely read by the later generation of literary people. It has been frequently quoted in the recordings made in Jeju or various poems and writings written on the theme of Jeju in later times and also has been used as the literary materi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features of Jeju and the personal opinions on them by Choongam used to have been accepted as the popular opinion in miscellaneous records and down chronicles written by later generations. The text of this book has errors in various layers. Many errors and ackward expressions of the first edition were corrected in later editions, but the reasonable expressions were printed ackwardly in later editions in some cases. Also, in some cases,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misread some letters in the anthologies when producing the fair copy. There are also many incomplete expressions and letters and they are the errors made in the course of transcribing the letters that were written in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partly damaged. Therefore, the emphasis shall be given on cross referencing and correcting errors by keeping in mind the possibility of error when reading the Jeju Pungtor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