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耽羅形成期 墓制의 諸樣相 (Overall Aspects of the Tombs in Tamna Formation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06
18P 미리보기
耽羅形成期 墓制의 諸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9권 / 108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진환

    초록

    ‘탐라성립기’ 또는 ‘탐라형성기’라는 용어는 한국고고학 시기구분에서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에 해당하는 개념이며, 탐라형성기의 묘제로는 지석묘를 포함한 옹관묘, 토광묘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용담동 철기부장묘 이전까지의 묘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탐라형성기 묘제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인접 취락과의 관계를 검토한 후묘제에 따른 시기편년을 제시하고자한다.
    탐라형성기의 묘제는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재지화 과정에서 변화한다. 그리고 송국리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의 융합·소멸 과정에서 해상 교역을 통해 형성된 집단에 의해 새로운 묘제가 등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탐라형성기 묘제의 변화 양상에 따른 시기구분은 청동기시대-탐라형성기-탐라시대로 제시한다. 청동기시대 중기 유입된 송국리문화가 최대 성행기를 맞는 기원전 4~3세기에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후점토대토기문화에 의한 융합과정에서의 변화는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기는 하였으나 주거 형식, 토기의 변화는 기존의 송국리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일정 부분 청동기시대 문화의 존속으로 보아도 될 것이다. 그리고 송국리문화가 소멸되어가는 단계에는 새로운 묘제가 등장하고, 외도동식 주거지와 토기로 변화하며, 대외적으로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지고 한식유물이 유입되어진다. 대외교역을 통한 한식유물의 유입은 제주도에 교역이 가능한일정 집단의 발생을 의미하며 이 시기를 ‘탐라’라는 정치체의 형성기로 볼 수 있다. 이후 기원전 1세기~기원 3세기까지의 한식유물은 낙랑과 삼한을 통해 도입되어진 것으로 탐라의 정치세력은 漢-樂浪-三韓-倭를 연결하는 동아시아 교역로를 통해 수장층으로 성장하고 그러한 최고 수장층의 무덤은 용담동고분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Tamna Establishment Period’ or 'Tamna Formation Period’ corresponds to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period.
    The tombs in Tamna Formation Period include dolmens, jar-coffin tombs and pit tomb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ombs prior to the tombs with ironware in Yongdam-do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all aspects of the tombs in Tamna Formation Period, examines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villages, and proposes a chronology according to the tombs.
    While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Bronze Age was maintained, the tombs in Tamna Formation Period changed during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localization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It seems that new types of tomb were made by groups formed through maritime trade in the process of fusion and disappearance of the Songgukri culture an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The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pattern of tombs in Tamna Formation Period is proposed in the order of the Bronze Age-Tamna Formation Period-Tamna Period.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was introduced in the 4th and 3rd centuries BC when the Songgukri culture, introduced in the middle Bronze Age, was the most popular. In the process of fusion by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since then, a new culture was introduced.
    However, the change in residence style and earthenware were based on the existing Songgukri culture, which suggests that the Bronze Age culture survived to some extent at that time. In the stage of disappearance of the Songgukri culture, a new type of tombs appeared, Oedodong-style residence and earthenware appeared, foreign trade was active, and Han-style artifacts were introduced. The introduction of Han-style artifacts through foreign trade signifies the emergence of a certain group that could trade in Jeju Island. In addition, this period can be viewed as the period of forming a political entity called 'Tamna’. Since then, Han-style artifacts dating from the 1st century BC to the 3rd century AD were introduced through Lelang and 耽羅形成期 墓制의 諸樣相 · 125 Samhan. The political powers of Tamna grew into the leaders through the East Asian trade routes connecting Han-Lelang-Samhan-Japan, and the ancient tomb in Yongdam-dong corresponds to the tomb of that supreme l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