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발트와 영화 - 『아우스터리츠』와 알랭 레네 영화를 중심으로 (W. G. Sebald und Film - Drei Filmen von Alain Resnais in der Prosafiktion Austerlitz)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5.06
27P 미리보기
제발트와 영화 - 『아우스터리츠』와 알랭 레네 영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카프카학회
    · 수록지 정보 : 카프카 연구 / 33호 / 149 ~ 175페이지
    · 저자명 : 이경진

    초록

    본 논문은 제발트의 작품이 영화와 맺는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해명하고 구체적으로 『아우스터리츠』에 나타난 알랭 레네 영화와의 연관성을 추적해 보았다. 레네의 세 영화 <지난해 마리앵바드>와 <세상의 모든 기억>, 그리고 <밤과 안개>는 제발트에게 기억과 시간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하였다. <지난 해 마리앵바드>는 ‘마리엔바트’라는 그 자체로는 아무런 기의를 갖지 않는 공간을, 과거가 지나간 것이 아니라 잠재하여 현재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마적인 미로로 변모시켰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기억>은 도서관과 수용소 사이의 연관성을 레네 특유의 편집과 카메라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마지막으로 <밤과 안개>는 재현과 상상을 불허하는 홀로코스트의 역사를 이야기함에 있어서 흔적을 적극적인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역사를 현재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제발트가 이러한 선텍스트들을 언급하거나 차용하거나 변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작품 내에서 어떤 특정한 주제를 향해 세심하게 배치한다는 점이다. 『아우스터리츠』에서 저 세 영화는 모두 아우스터리츠의 어머니가 수감되어 있었고 결국 살해당한 강제수용소를 향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씌어진 많은 홀로코스트 문학과 제발트의 문학을 크게 구분 짓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즉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는 유대인 생존자의 수기나 증언이 아니며, 그렇다고 전대미문의 참혹한 비극을 이야기함으로써 독자의 감정을 움직이는 극적인 서사도 아니다. 제발트가 취한 전략은 무관해 보이는 것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우리 주변의 사물들, 인간들, 사실들, 텍스트들이 실은 저 홀로코스트를 중심으로 다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호텍스트성은 제발트에게 있어 윤리이다. 동시에, 이렇게 역사의 진실을 강력하게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연결선은 분명 역사가가 그려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변형되고 가공된 텍스트들로 엮어낸 제발트의 새로운 텍스트는 픽션의 차원에 있다. 즉 제발트라는 박식한 작가가 숨겨진 역사의 진실을 발견하는 역사가가 아니라 ‘예술가’인 것은 바로 이러한 상호텍스트적 기법에 그 근거가 있다. 그에게 상호텍스트성은 역사의 진실을 인식할 수 있는 토대를 미학적인 차원에서 만들어 보이겠다는 예술가 의식의 소산인 것이다.

    영어초록

    Bekanntlich ist W. G. Sebald ein Meister der Intertextualität ohnegleichen. Seine Werke stellen ein ausgearbeitetes Mosaikwerk dar, das aus zahlreichen verschiedenen Textstücken zusammengesetzt ist. Diese Montage- und Vernetzungsästhetik bezieht nicht nur den Bereich von Texten, sondern auch den von Bildern mit ein. So bildet neben Fotografie und Malerei auch der Film einen wichtigen, jedoch bisher nicht sehr beachteten Grundtext der erzählerischen Werke Sebalds. Obwohl Sebald einige fundamentale Filmtechniken gerne als Erzählmittel benutzt, lässt sich seine Beziehung zum Film nicht bloß unter der intermedialen Perspektive betrachten, sondern eher unter der intertexuellen, weil er Filme meistens auf der texutellen Ebene behandelt. Dabei ist eigentümlich, dass es sich für Sebald bei der Intertexualität nicht nur um eine ästhetische Methode, sondern auch um eine ethische Behandlung der Geschichte handelt. Aus dem Bewusstsein, dass alle Dinge in der Geschichte miteinander zusammenhängen, entsteht eine unendliche Verantwortung für die Geschichte, vor allem für die deutsche Vergangenheit.
    In Sebalds Prosafiktion ‚Austerlitz‘ kann man diese intertexuelle Beziehung am Beispiel von drei berühmten Werken von Alain Resnais, dem französichen Cineast der Nouvelle Vague, untersuchen: ‚L'Année dernière á Marienbad‘, ‚Toute la Mémoire du Monde‘ und ‚Nuit et brouillard‘. Mit Sebald teilt Resnais viele gemeinsame Interessen. Dieser setzte sich vom Beginn seiner Karriere an mit dem Problem des kollektiven Gedächtnisses intensiv auseinander und arbeitete mit vielen Autoren des Nouveau Romans zusammen, welche einen neuen, gegen die lineare und aufeinanderfolgende Zeit der traditionellen, meistens realistischen Narrative gerichteten Roman versuchten. Resnais' drei Filme bieten für Sebald daher viele wichtige Bezugspunkte zum Darstellungsproblem von Zeit und Erinnerung an. Im Film ‚L'Année dernière á Marienbad‘ erscheint der Ort Marienbad als ein magisches Labyrinth, in dem Vergangenheit, Gegenwart und Zukunft nicht aufeinander folgen, sondern ineinander verschränkt sind. Auf ähnliche Weise ist in ‚Austerlitz‘ Marienbad ein Ort, an dem die verlorene Vergangenheit des Titelhelden schlummert. ‚Toute la Mémoire du Monde‘, die die Pariser Nationalbibliothek als eine Festung oder ein Lager für die gefangen genommenen Bücher darstellt, bildet in ‚Austerlitz‘ einen Prätext zum Thema der Verwandtschaft zwischen Bibliothek und Konzentrationslager. Auch der Kurzfilm ‚Nuit et brouillard‘ ist für Sebald bedeutend, insofern er eine neue Behandlungsweise zum Holocaust, dem undarstellbaren und unvorstellbaren Gegenstand aufzeigt, indem die Geschichte als Spurensuche erzählt und vorstellbar gemacht wird.
    Bei Sebald ist zu beachten, dass er diese Prätexte nicht einfach verwendet oder verarbeitet , sondern sie alle zu einem bestimmten Thema hin sorgfältig ordnet, nämlich dem Zwangslager, wo die Mutter Austerlitz‘ ermordet wurde. Diese Strategie ist es, die das Werk ‚Austerlitz‘ von bisheriger autobiographischer Zeugenliteratur der jüdischen Überlebenden oder sogenannten Holocaust-Romanen unterscheidet, in denen dramatische tragische Ereignisse mit viel Gefühl erzählt werden. Mit ‚Austerlitz‘ schafft Sebald eine Welt, in der die scheinbar weit voneinander entfernt liegenden Dinge um das Ereignis Holocaust herum miteinander vernetzt sind. Daher ist Intertextualität für Sebald sowohl ein ethisches als auch ein ästhetisches, erzähler isches Verfahren zur Produzierung der Grundlage für die Erkenntnis von Wahrheit der Geschich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카프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