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머리마빡과 허재비놀이의 현대적 변용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Jemeorimappak' and 'Heojabi Pla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제머리마빡과 허재비놀이의 현대적 변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9호 / 261 ~ 288페이지
    · 저자명 : 안상경, 박범준

    초록

    전통연희로서 ‘제머리마빡’과 ‘허재비놀이’가 지역축제나 행사에서 새로운 볼거리, 즐길거리로 각광받고 있다. 연동하여 인형 형상이 변화하고 있고, 연희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지역축제나 행사의 속성을 “Festival”로 간주하고 더한 “재미”를 위해 인위적으로 가장(假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의도한 것이든 의도하지 않은 것이든, 연희자와 관람객이 ‘너’와 ‘나’가 아닌 ‘우리’라는 새로운 공감대를 창조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제머리마빡과 허재비놀이의 변화상이 제 아무리 바람직하다고 해도, 보다 체계적인 계승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연희 공간에 부합하는 현대적 변용으로서 실현 가능한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전통연희의 현대적 변용은 소통과 공감의 콘셉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는 명제를 전제로, 제머리마빡과 허재비놀이의 연행 배경과 유사하면서도 글로컬 미래문화로 승화된 해외 사례의 분석을 통해 현대적 변용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우선 베트남의 수상인형극 ‘무어 로이 느억’이 일상의 생활과 설화에서 이야기 소재를 발굴하고, 그 이야기에 어울리는 인형을 제작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제머리마빡의 전승지로서 목계가 남한강 수운의 경제·문화적 중심지였기에 목계만의 인형과 이야기를 형상화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일본의 ‘메이지신궁 인형감사제’가 관람객이 동참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허재비놀이가 재액의 전이를 통해 개별적인 기원을 성취할 수 있는 제의적 연희라는 점에서 관람객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충분히 창출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일련의 논의는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현대적 변용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 찾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의 정점으로서 방향성 모색은 탁상에 앉아 고안한 현학의 결과가 아니라, 지역의 문화 현실을 충실히 파악하여 고안한 실질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oday, as a local traditional performance, the 'Jemeorimappak' and 'Heojabi Play' is in the spotlight new attractions, fun activities in the field of festivals and events. Linked to changes in the shape of dolls, and traditional performance form. It may be as a result of the festivals and events in the region is considered to be a "Festival" and It is most artificially for "fun" in addition. However, Whether intended or not intended to do, It has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audience and performers to create a new consensus that "we" rather than the "you" and "me." However, change of image 'Jemeorimappak' and 'Heojabi Play', how much it costs is desirable, for inheritance more systematic, it is necessary to seek a feasible direction as modern transformation that agrees with the performance space. From this recognition, on the premise of the propositi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need to adhere to the concept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s a", and even though similar to the background of contents of the 'Jemeorimappak' and 'Heojabi Play',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verseas that have been sublimated into culture of glocal(global-local) future,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First, I focused on the fact that Puppet show on the water of Vietnam "múa rối nước" has caught in the story of the their life and the their tale, that they are making dolls appropriate for the story. And the Chungju Mokge Village because there was the center of economic and cultural Southern Han River as transmitted area of 'Jemeorimappak', that it has sufficient conditions to characterize of the story and doll own unique Mokge Village-based I pointed out. And, I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y are creating a space of communication that can of Japan "Meiji Shrine doll Thanksgiving(明治神宮人形感謝祭)" to join the visitors. Also, through the highlighting of the fact that ritual performance that can by the displacement of the village disaster, Heojabi Play to achieve the origin of the individual, I pointed out that it is possible to make enough communication space that allows to participate in such actions for visitors. Discussion of the series, can be assumed to be a process of fin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according to whom, whether it is modern transformation for anyone?" and, direction of the search for a peak of the process, can be not a pedantic result devised to sit on a table, and practical results it is devised to understand faithfully the reality of the local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