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쟁, 고토, 가야금 개량의 역사적 전개 (Modification Proces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Zheng, Koto and Kayagŭm in East Asi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08.06
46P 미리보기
쟁, 고토, 가야금 개량의 역사적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40호 / 61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선

    초록

    쟁(古箏), 고토(箏), 가야금(伽倻琴)은 각각 중국, 일본, 한국을 대표하는 발현악기로, 악기의 구조, 형태, 재료, 연주방법이 비슷한 동류의 악기이다. 무엇보다도 세 악기는 사회 문화적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세 발현악기는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소리를 위해, 레퍼토리의 확장을 위해, 현대적인 소리를 위해, 작품이나 작곡가의 요구에 의해,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음악의 생산을 위해, 연주자의 음악적 성취를 위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개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북한, 연변지역에서 진행된 세 악기의 악기개량 과정을 비교 고찰해봄으로서 근접한 지역에서 발전되었고 역사적으로 유래가 같지 않을까 여겨지는 동류 악기군의 현대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논의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쟁, 고토, 가야금은 각기 사회 문화 정치 역사적인 과정 안에서 크고 작은 개량이 진행되었고, 악기의 변화는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에서 모두 진행되었다. 악기의 변화는 새로운 악곡 및 쟝르의 등장, 새로운 음악연행의 소개, 새로운 연주기법의 등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특히 가장 20세기 들어 개량되기 시작한 동아시아의 세 악기는 현대적인 전통음악 혹은 현대음악을 연주하기 위하여 개량되었다. 또한 악기개량의 방향은 음량의 확대와 현 재질의 변화, 안족의 재질변경과 형태의 변화, 악기 몸체 형태 및 구조의 변화가 공통적이다. 특히 악기의 장력과 조율부의 변화, 나사, 조임새, 약음기와 전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수 장치는 현대의 테크놀로지와도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 쟁과 고토는 가야금에 비하여 여러 차례에 걸친 변화와 악기개량이 목격되었고 현대사회로의 전환과정에서 이 세 악기는 적극적인 개량을 모색하는데 역시 쟁과 고토는 가야금에 비하여 일찍이 개량을 시도하였다. 쟁은 1930년대부터 고토는 1920년대부터 개인 연주자, 작곡가, 악기장에 의해 개량이 시도되어 1960년대에는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개량 악기가 완성되었고, 한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개인 연주자의 소극적 개량과 관주도의 적극적 개량이 시도되었으나 일반화되지 않았다가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시도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서 7음음계의 가야금이 등장하였다. 북한지역에서의 가야금 개량은 30-40년대에 시작되어 1960년에 21현 가야금의 등장으로 완성된다. 1970년대에는 전조가 가능한 북한의 옥류금과 연변지역의 23현 가야금이 등장한다.
    이러한 새로운 악기들의 등장은 한편 급진적이고 목적 지향적으로 전개되었으나 쟁과 고토는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완만하게 진행되었던 개량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것과 비교할 때 가야금은 기존의 악기로부터 가장 급진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 가야금은 아시아 발현악기의 가장 원형적인 악기로 그 문화적 가치를 살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 나아가 새로운 악기들의 사회적 의미와 아시아의 역사와 문화의 맥락안에서 악기와 음악문화를 살펴보는 공시적이자 통시적인 연구는 향후 음악학의 과제가 아닌가 여겨진다.

    영어초록

    Zheng 箏, koto 琴 and kayagŭm 伽倻琴 are the representative plucked stringed instruments in East Asia, respectively China, Japan and Korea. These instruments share some of the basic features including morphology, structure, materials, and playing techniques. Moreover, these instruments have changed over time throughout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processes. Especially in modern era witnesses dramatic changes of musical construction and morphology of three zithers. Purposes of the modification of three zithers vary including for a new sonic experience, wide range of repertoires, musical achievement and by the need of composers and compositions, to accomplish socialist ideologies, and most of all achieving modernity. This paper investigates modification proces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ree zithers in China, Taiwan, Japan, South and North Korea and Yanbian.
    Zheng, koto and kayagŭm have changed along with socio-cultural, political and historical processes, sometimes those changes were either dramatic or small scale. Especially zheng and koto have changed several times and was quite often and obvious than Korean kayagŭm. Modernization process in all societies has involved modification of traditional instruments, and these were quite dramatic compared to those of earlier times. Musicians, composers and manufacturers have initiated modern instrument modification during the 1930s for Chinese zheng, during the 1920s for Japanese koto and during the 1960s for Korean kayagŭm. Those modification have almost completed during the 1960s for Chinese and Japanese. In North Korea and Yanbian, modification started earlier than South Korea. North Korea began during the 1930s and completed during the 1960s and 1970s. In case of North Korea and China, mod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instrument was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to fulfill socialist ideology. The modification of kayagŭm in South Korea began actively during the 1980s, which is comparatively later than any other regions.
    Thus modification of the kayagŭm in modern era is more radical compared to other two. Chinese zheng and Japanese koto have evolved gradually throughout history, but kayagŭm has not. This fact also implies that the kayagŭm of South Korea has the most oldest and closest to the original plucked zither form in Asia up until recently, this also should be reevaluated. Furthermore, social meanings of new instruments in Asia with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need further investigation in the field of organology, ethnomusicology and historical-music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