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의인재 동반사업 웹툰예비작가 멘토링 진화모형 연구 (A Study on Evolutionary Modeling for Mentoring in Creative Talented Webtoon Pre-Writers Accompanying Projec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9.12
23P 미리보기
창의인재 동반사업 웹툰예비작가 멘토링 진화모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7호 / 453 ~ 475페이지
    · 저자명 : 한창완, 강은원

    초록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2년부터 시행해온 인력양성사업 중에 가장 많은 예산과 오랜 기간 확대되고 있는 사업이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이다. 이 사업은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저작권을 창작하는 크리에이터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현실적인 멘토링을 일정기간 기본적인 자금을 지원해주며 돕는 실무형 지원사업이다. 대개의 크리에이터들은 생활자금의 어려움과 창작의 고통을 함께 병행하며 어렵게 자신의 콘텐츠를 창작하는데, 이러한 사업에 선발되어 최저생계비를 지원받고, 현장에 있는 실무 멘토들의 실시간 도움을 받으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현실화해내는 10개월 가량의 도움은 실제 콘텐츠산업에서도 성공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2013년부터 6년간 본 사업을 진행해온 세종대학교 융합콘텐츠산업연구소는 웹툰예비작가의 실무적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본래 인식되던 콘텐츠 창작멘토링의 패러다임이 점차 입체적으로 진화되어 감을 인지했으며, 혁신하는 웹툰플랫폼 산업과 소비모형의 다양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실험을 진행해왔다. 그러한 과정에서 웹툰작가 및 예비작가에 필요한 멘토링 모형 도출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선순환 되는 웹툰산업 생태계의 각 모듈간 특성과 소비독자들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멘토링을 멘티와 멘토 사이에 제안하거나 평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실험과 평가, 선택과 변형, 혁신과 진화 등의 과정을 통해 웹툰예비작가에게 실시간 필요한 멘토링의 맞춤형 기획이 어떠한 멘토구성 메카니즘으로 설계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설계와 적용과정에 필요한 평가지수와 변수들을 입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멘토링 프로세스 관리시스템은 무엇인가에 대해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제시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툰산업생태계에 필요한 각 모듈의 인력풀과 필요요소, 진화하는 담당업무의 필요능력 등을 분석하고, 각 분야별 멘토링요소 및 기간, 필요한 역량과 지원요소, 지속적 멘토링의 경로와 방안 등을 연구했다. 실재 전통적인 멘토링의 도제시스템은 작가와 예비작가간의 관계에 기반하여, 창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과 반복, 모방과 창조 등의 시간으로 채워가며 휴머니즘적인 관계를 강화시켜 온 것이 일반적인 개념이었다. 그러나, 분석된 웹툰작가 멘토링의 진화패러다임은 웹툰산업생태계 전반의 거시적 인식을 토대로 멘토기간 중 단계적이고 차별적이며 입체적인 멘토링 동선이 필요하며, 다양한 멘토진의 구축과 창작과정의 시간별, 기간별 프로그램의 전문화가 실질적인 멘토링의 진화로 실현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i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been implementing the workforce training project since 2012, among those the longer time expanded with much higher budget is 'Creative Talented Accompanying Project'. This project is a hands-on support project that provides basic funding and practical suppor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mentoring creating content creators to create creative copyrights through their own ideas.
    Most creators create their own content in parallel with the difficulties of living cost and the pain of creation. They have been selected for these projects, receive the lowest living expenses, receive real-time help from working mentors in the field, and share their ideas. The 10-month-long help to make it a reality is creating success stories in the actual content industry.
    The Sejong University Convergence Content Industry Research Institute, which has been working on this project for six years since 2013, recognized that the paradigm of content creation mentoring, which was originally recognized, gradually evolved three-dimensionally while conducting practical mentoring of webtoon preliminary artists. So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respond flexibly to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models as well as innovative Webtoon Platform Industry.
    In the process, we attempted to derive the mentoring model for webtoon artists and preliminary artists as well, and suggested and/or evaluated mentoring between mentees and men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ule and the type of consumer readers.
    Through this process of experiments and evaluations, selection and transformation, innovation and evolu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 customized presentation of mentoring necessary for webtoon preliminary artists should be designed, and the evaluation index required for such design and application process. Variables and analytical topics raise the question of which metrics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solve the proposed research problem, we analyze the manpower pool, the necessary elements of each module necessary for the webtoon industry ecosystem, the necessary ability of the evolving task, and the mentoring factors and periods of each field, the necessary competencies and supporting factors, and the path and way of continuous mentor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mentoring apprentice system has been to strengthen the humanistic relationship by filling the whole process of creation with time such as experience and repetition, imitation and cre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preliminary artist. However, the analyzed paradigm of webtoon artists' mentoring requires staged, differentiated and three-dimensional mentoring movements during the mentorjng period based on the macro perceptions of the webtoon industry ecosystem. It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alized by the evolution of practical mentoring by various mentoring member and professional programs by time and season for creative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