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히에로니무스 전도서 주석의 알레고리적 특징에 대한 재평가 (Reassessment of the Allegorical Feature of Jerome’s Commentary on Ecclesiastes(Commentarius in Ecclesiasten, S. Hieronymi Presbyter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06
42P 미리보기
히에로니무스 전도서 주석의 알레고리적 특징에 대한 재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57호 / 37 ~ 78페이지
    · 저자명 : 박철우

    초록

    히에로니무스의 전도서 주석(Commentarius in Ecclesiasten, S. Hieronymi Presbyteri)은 주석방법론과 그 내용에 있어서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히에로니무스 전도서 주석에 대한 부정적이고 단순한 평가 곧 히에로니무스 주석은 알레고리 주석이라는 단순한 평가에 있다. 필자는 이러한 평가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적 대답 곧 특정 본문들이 알레고리적 해석이 아니라는 직접적인 변호적 설명 대신, 그 이외의 내용들 곧 문자적 해석을 담지하고 있는 히에로니무스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해석의 내용들의 특징들을 검토함으로서 히에로니무스 주석의 특징을 재평가하려하였다. 필자는 이를 위해 히에로니무스 전도서 주석 3장을 표본 본문으로 실제적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그의 주석 12장 전체에서 알레고리적 해석의 비중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여 히에로니무스 주석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알레고리 중심적 해석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하려하였다.
    그 정량적 검토 결과에 따르면, 주석 총 줄수 3799줄중 622줄만이 알레고리적 해석이다. 이것은 백분율로 전체 줄수 중 16.4%만이 알레고리적 해석임을 보여준다. 히에로니무스의 주석에서 알레고리적 해석은 전체의 1/5이 되지 않았고, 그의 주석의 대부분은 문자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해석이었으며, 본문의 상호연관성(intertexuality)과 정경적 관점(canonical view)을 전제로 한 부연설명 내지는 확대해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고, 알레고리적 해석의 내용도 문자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그 내용도 신약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히에로니무스 전도서 주석에 대한 기존의 알레고리적 편견을 극복하는데 일조하고자하였다.

    영어초록

    Commentarius in Ecclesiasten, S. Hieronymi Presbyter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ightful sourc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Ecclesiastes. But it has been much neglected so far. I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this negligence is the negative and oversimplified view on it, that is, it has been regarded as an obsolete allegorical interpretation.
    Concerning it, I tried to clarify the particularities of Jerome’s commentary by examining the general contents of his interpretation which contain his literal 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negative approach in answering to the argument regarding Jerome’s interpretation as too much allegorical. I tried to demonstrate that his commentary is not so much allegorical as it has been commonly believed, first by showing the opposite fac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ample text, Jerome’s commentary on chapter 3, and then, by examining quantitatively the weight of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in all of his commentary of Ecclesiastes(12 chapters).
    The results of my quantitative assessment of his allegorical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Ch. 1, 404 - 53 - 13.1%Ch. 2, 395 - 89 - 22.5 %Ch. 3, 373 - 34 - 9.1 %Ch. 4, 261 - 41 - 15.7 %Ch. 5, 211 - 25 - 11.8%Ch. 6, 105 - 11 - 10.5%Ch. 7, 455 - 50 - 11%Ch. 8, 265 - 22 - 8.3%Ch. 9, 381 - 56 - 14.7%Ch. 10, 373 - 75 - 20.1%Ch. 11, 161 - 57 - 35.4%Ch. 12, 415 - 109 - 26.3%(1st column – number of chapter of Jerome’s commentary; 2nd column – number of total lines of each chapter; 3rd column – total lines of allegorical interpretation; 4th column – percentage, according to numbering of lines found in Hieronimi Presbyteri Opera, pars I, 1, Corpus Christianorum, Turnholti, Typographi Brepols Editores Pontificii, 1959)622 lines out of 3799 lines, the total number of Jerome’s commentary, is allegorical, that is, 16.4% altogether. His allegorical interpretation is less than 1/5. This study showsI: 1) most of his commentary was based on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text; 2) it can be characterized as an expatiatory exposition or extended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the intertexuality of the biblical texts and the canonical view on the Bible as a whole; 3) even allegorical contents of his commentary is not going beyond the contents of the New Testament.
    By means of these analyses, I tried to contribute to overcome too much biased view on Jerome’s commentary, that is, too much oversimplified as allegoric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