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Recontextualizing Buddhist Art Objects in Exhibit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35호 / 175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준호, 권지연

    초록

    불교유물은 경전 등의 엄격한 의궤에 근거하여 조성되어 실제 종교현장에서 의례의 대상 또는 수단으로써 기능해왔다. 하지만 이들이 박물관 소장품으로 회화, 조각, 또는 공예라는 미술사적인 분류체계 하에 분리된 공간에 진열되면서 본래의 맥락을 잃어버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유물이 종교적 맥락을 유지하여 전시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모색해 보았다. 첫 번째는 ‘분위기(atmosphere)’의 재현이다. 본 논문에서는 뵈메의 분위기 이론에 입각하여 분위기의 준객관적 성격과 산출가능한 측면에 주목한다. 분위기의 산출요소로써 시각적인 빛, 청각적인 소리, 후각적인 향을 구분하고 각각의 의미와 원래 유물이 위치하였던 사찰의 분위기를 연출하여 관람객에게 현장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고안해 보았다. 두 번째는 ‘재현전시(representational exhibition)’인데, 불교유물 하나의 내용을 전달하는 기존의 전시방법에서 탈피하여 의례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함께 재현함으로써 전시유물을 종합적이고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전시공간에서 잃어버린 유물의 종교적 맥락과 분위기를 회복하는데 기여하면서 관람객에게 전시유물에 대한 이해와 체험을 증강시킬 것이다.

    영어초록

    Buddhism had a long and deep influence in Korea for over 1600 years, resulting in a significant number of Buddhist objects surviving in museum collections. Their most common display methods follow categorical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ir medium, type and formal aspects, separating the sculptures from the paintings and other ritual objects. This method disperses the objects that were once meant to be positioned in the same ritual space in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us stripping them of their original context.
    This study explores exhibition methods in museums that can recover the original context of Buddhist objects in order to enhance visitor’s experience. The first suggested method is the recovery of ‘atmosphere’, which encompasses sight, hearing, and smell. The recovery of these state-dependent memory factors help one restore the experience of the religious environment particular to the Buddhist temple, enhancing the visitor’s experience. The second method is ‘representational exhibition,’ which reenacts the Buddhist ritual space. Such method recovers the meaningful relationship among the objects, helping the audience understand the role and meaning of each object in their original ritual space. Such alternative display methods of Buddhist art objects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 visitors who are often ignorant about the underlying religious meaning and context of the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