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and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0.09
35P 미리보기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4호 / 305 ~ 339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비판과 실증주의 역사학의 연구방법론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식민지기 한국불교사 연구의 계보학적 특성 및 그 의미를 ‘전통의 집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어 한국불교 전통에 대한 부정과 긍정의 극단적 인식과 평가를 검토하고 ‘불교의 근대적 원형’ 추구와 이어 펼쳐진 ‘전통의 재발견’ 시도에 주목하였다. 근대불교학은 주석학 중심의 전통 불교학이 갖는 교조적 특성과는 달리, 원전 비평을 통한 객관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식민지기에는 문헌 수집과 계보학적 분류, 엄밀한 텍스트 분석과 주제별 연구가 이루어졌고 전통의 자화상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한국의 불교전통에 대한 식민지기의 인식 및 평가에는 부정적인 폄하의 시각이 두드러졌는데,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시대 시기구분론이나 교학쇠퇴론, 비주류 위상의 강조 등에서 타율성과 정체성에 근거한 특수론의 확산을 볼 수 있다. 반대로 崔南善 등에 의한 전통에 대한 긍정적 시각도 나타났고 한편 이전에 무비판적으로 통용된 개념적 오류나 잘못된 이해가 불식되기도 하였다. 1910년대에는 특히 문명개화론과 맞물려 ‘조선적 전통’보다 ‘불교의 근대적 원형’이 추구되었고 이후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불교 전체의 역사와 함께 조선의 불교전통을 통시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불교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서 禪宗 전통의 재발견, 通佛敎 인식, 宗名 논의와 宗祖 문제가 시대담론으로 부상하였다. 즉 불교전통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인식의 심화가 전통의 재발견과 새로운 전통의 창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irstly considered the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ed on literature criticism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empirical historical study. Secondly it also deliberated the genealogical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Korean Buddhist study in colonial age from the aspect of 'tradition collection'.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extrem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egative or positive view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 search for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and the consecutive trial of 'rediscovery of tradition'. Unlike the doctrin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Buddhist study focused on exegetics, modern Buddhist study has the characteristic of objective approach through original text criticism. Through that, literature collection, genealogical classification, strict text analysis and study of each theme were performed and traditional self-portrait appeared. Negatively derogative viewpoint was outstanding i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about the Buddhist tradition of Korea by Takahashi Toru. His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special theory based on heteronomy and identity are found in the doctrine of Joseon dynasty period classification, doctrine of decline and the doctrine of non-mainstream phase. On the contrary, Choi Nam-Seon and other people showed positive viewpoints about tradition. Conceptual error or wrong understanding, which was commonly used without criticism, was swept off. Especially, in 1910s, rather than 'tradition of Joseon',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geared with civilization theory was search for. After that, as study results were accumulated, the Buddhist tradition of Joseon was diachronically lightened with the history of entire Buddhism. Therefore, as a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rediscovery of Seon school tradition, recognition of Pan-Buddhism, discussion of school name and issue of school founder appeared as discussions of the age. In other word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and deepened recognition were led to rediscovery of tradition and creation of new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