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대 초기 역사 순항을 위한 정통 개념의 재설정 (Reestablishment of Orthodox Concepts for the Fair Current of History in Early M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1.09
29P 미리보기
명대 초기 역사 순항을 위한 정통 개념의 재설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62호 / 207 ~ 235페이지
    · 저자명 : 이진명

    초록

    이 글은 방효유(方孝孺, 1357-1402)의 정통론이 쓰인 배경과 그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 특유의 역사철학인 정통론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정통론은 중국 고대부터 내려온 사학의 표준이자 文化論, 華夷論, 道德論, 道統論 등 여러 철학 개념이 장기간에 걸쳐 錯綜되어 전개된 역사철학이다. 특히 방효유의 정통론은 歐陽脩(1007-1072)의 정통론과 명대 초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王禕(1322-1373), 胡翰(1307-1381) 등의 정통론의 득실을 종합하여 正統ㆍ附統ㆍ變統의 개념을 창안해냈다. 形勢論的 관점에서 도덕주의적 관점으로 시각을 이동시켜 정통을 파악한 그의 관점은 탁월하며 영향은 심원하다.
    방효유의 정통론은 자신이 속해있는 金華朱子學派의 주요 사상인 ‘尊本明統’의 정통론을 발전시켜 역사를 도덕주의 관점으로 파악하는 한편, 도덕과 사실 사이에서 발생하는 건널 수 없는 틈새를 변통이라는 개념을 창안해서 해결하려 했다.
    주희와 진량은 그 유명한 왕패ㆍ의리논쟁을 펼쳤다. 주희는 동기론적 입장, 즉 군주가 도덕의 동기에 입각하여 통치했는지의 여부로써 왕도와 패도를 구분했다. 반면에 진량은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한ㆍ당의 군주가 백성을 구휼했던 근거를 들어 한ㆍ당이 패도가 아님을 주장했다. 이 둘의 논쟁은 서로 평행선을 그으며 의견의 접점을 얻지 못했다. 필자는 방효유의 附統의 개념이 주희와 진량 사이를 중재했던 당중우의 의견과 일치함을 발견했다. 필자는 방효유가 이끌었던 金華朱子學派가 주자의 道德性命의 학술과 진량의 事功主義 학술의 장점을 수용하여 절충시켰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방효유의 정통론이 주희와 진량 사이에 일어났던 왕패ㆍ의리논쟁의 접점을 찾았다고 본다.
    방효유의 정통론은 후대 丘濬(1420-1495)의『世史正綱』, 謝陛(1547-1615)의『正帝統』 등의 저술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Orthodox Theory by Fang Xiaoru(方孝孺, 1357-1402)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View of Orthodox, which is China’s peculiar historical philosophy. The Orthodox Theory is the standard of historical studies from the ancient China,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philosophy entangled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from the various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cultural discourses, Sino(華)-Barbarian(夷) dichotomy, theories of morality, and Daotong discourses(文化論, 華夷論, 道德論, 道統論). Especially, Fang Xiaoru’s View of Orthodox integrated pros and cons of Ouyang Xiu(歐陽脩, 1007-1072)’s Orthodox Theory and Orthodox Theory of Wang Yi(王禕, 1322-1373) and Hu Han(胡翰, 1307-1381), who were representative thinkers of early Ming Dynasty, and developed concepts of Zhengtong(正統, rightful succession), Futong(附統, semi-fulfilled succession) and Biantong(變統, variable succession). His perspective comprehended by switching the view from geopolitics to moralism is extraordinary, and its influence is profound.
    Fang Xiaoru’s Orthodox Theory comprehends history through the moralism aspect by developing the orthodox theory of esteeming its origin and clarifying its legitimacy(尊本明統), which is a major theory of Jinhua Chengzhu school where he belonged. On the other hand, he tried to solve the unbridgeable gap occurring between moral and truth by coining the concept of Biantong. This discussion had a great influence on publication of such books as The Rightful Cardinal Guides of World History(世史正綱) by Qiu Jun(丘濬, 1420-1495) and Orthodox of Rightful Emperors(正帝統) by Xie Bi(謝陛, 1547-161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