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구시 도심지 재개발지역의 도시사 연구 (Urban History of a Redevelopment Area in Downtown of Daegu Metropolitan Ci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1.10
31P 미리보기
대구시 도심지 재개발지역의 도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4호 / 215 ~ 245페이지
    · 저자명 : 이창언

    초록

    이 글은 시대별로 축적된 도시공간에서 전개된 일상을 점검함으로써 일상에 내재된 생동력과 창의성을 재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공간 조성의 바람직한 지향에 관한 논의를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조선 후기 지역체계 상 한양에 버금가는 위계에서 영남지역의 중심지로 기능했던 대구 중심부 공간의 시대별 변천에 주목하였다. 전통시대의 대구는 관아를 중심으로 정치, 행정, 경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이 집중된 전산업시대의 전형적인 읍치 사회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이래 경상도 지역의 중심지로 기능해온 대구는 근대기를 거치며 식민지 이중도시로 변화하였다. 해방 직후 찾아온 사회적 혼란 속에서 외지인에 의해 생성된 상업과 문예활동은 각기 대구지역의 새로운 생활양식으로 창출되고 융합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산업화시기의 도심지 인구증가는 피란 시기부터 시작된 상업과 대중문화를 촉진하여 지역중심지로서의 기능을 한층 더 증폭시켰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심지의 기능이 공간적으로 분산됨에 따라 옛 도심지는 상가가 영세화되고 노인층의 여가 공간으로 변경되는 등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최근 옛 도심지가 주거공간으로 주목받으면서 새로운 형태의 주거공간이 형성되고 있다. 도심지의 재도시화 과정에서 오랫동안 축적된 기억과 흔적은 송두리째 사라질 상황에 처했다. 옛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크게 위축된 도심지 슬럼지역은 멀리는 전통시대부터 가깝게는 근대시기부터 수많은 경험과 기억이 축적된 곳이다. 공간에 축적된 시대별 경험과 기억은 당시 주체들의 시대 인식에 기초한 실천의 결과물이며, 그 자체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사회적 관계의 산물로서 공간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관심은 시대 인식과 이에 기초한 실천의 변화를 살피는 작업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공간에 축적된 경험과 기억, 그리고 그 변화에 대한 성찰을 재개발과 같은 공간 변형에 적용하는 논의가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attempted to rediscover the vitality and creativity inherent in daily life by checking the daily life developed in the space accumulated by the times, and to discuss new directions based on this problematic. For this purpose, attention was paid to the change of the space in the central area of Daegu, which functioned as the center of the Youngnam area in a hierarchy comparable to that of Hanyang in the regional system of the late Chosun Dynasty. Daegu in the traditional era was a typical Eupchi(邑治) society, where various roles of spaces were distributed around government offices inside the fortress. Daegu, which has functioned as the center of the Youngnam area, has rapidly transformed into a modern city that shows the pattern of a colonial dual city through the colonial period. New kinds of commercial and literary activities that emerged amid the social turmoil that came in period between liberation and Korean wa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Daegu’s new lifestyle to be created and fused. The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further amplified its function as a regional center by promoting local commerce and popular culture that began during the evacuation period. However, since the 1990s, the functions of the center have been spatially dispersed. Accordingly, in the old downtown area, shopping malls became smaller and slummed into leisure spaces for the elderly.
    Recently, as the old downtown area has attracted attention, a new type of residential space is being formed. As a result, the memories and trace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re in a situation which they will disappear. The urban slum area, where its function as an old center has greatly shrunk, is a place where numerous experiences and memories have been accumulated from the traditional era to the modern period. In addition, interest in space formation and change as a product of social relations has significance as a work to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times and practices based on them. Therefore,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accumulated in space, and reflection on their change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social relations and seeking new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