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이해에서 재작성행위의 역할 연구를 위한 시론 - 재작성의 개념과 유형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Prolegomenon zur Untersuchung der Rolle der Reformulierungshandlungen beim Textverständnis - bezogen auf Begriffe und Typen der Reformulierungshandlunge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09
24P 미리보기
텍스트이해에서 재작성행위의 역할 연구를 위한 시론 - 재작성의 개념과 유형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2권 / 72호 / 119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성만

    초록

    본고는 학술 및 대화 텍스트의 재작성 행위를 포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텍스트언어학적 기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재작성 행위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지식 축적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재작성 개념을 이론적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재작성 문제를 다룬 주요 연구 업적들을 검토하여 개념적인 재정립을 추구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 과정에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재작성 개념을 유도할 것이다.
    본고는 일차적으로 재작성을 ‘이미 작성된 언어적 표현을 새로 작성하는 행위’로 정의하겠다. ‘새로 작성하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관련표현의 가공행위를 포함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고에서 말하는 재작성은 ‘이미 작성된 언어적 표현을 가공하여 새로 작성하거나 재수용하는 행위’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본고는 재작성 연구를 직접 관련표현에 이어지는 개별 발화의 재작성 행위에 한정시키고, 이 문제를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정립한 귈리히와 코치(Gülich/Kotschi 1987; 1996), 구어적-대화적 텍스트 분석에 적용한 뷔리히(Bührig 1996), 문어적-독화적 텍스트 분석에 응용한 슈타이어(Steyer 1997)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재작성의 형태와 유형을 연구할 수 있는 개념을 재정립하겠다.

    영어초록

    Reformulierungen sind ein wichtiges Thema der (text-)linguistischen Forschung. Aus diesem Grund besteht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darin, die Forschungsmöglichkeiten von Reformulierungen auf eine neue Grundlage zu stellen. Fokussiert werden dabei Formen und typologische Möglichkeiten der reformulierenden Handlungen. Die Arbeit verknüpft die bestehenden Reformulierungstheorien wie Gülich/Kotschi(1987; 1996), Bührig(1996) und Steyer(1994; 1997) aus kritischer Sicht mit der Problematik des Verstehens.
    Gülich/Kotschi(1987; 1996) stellen grundlegende Untersuchungen zum Thema Reformulierungen vor. Sie konzentrieren sich bei ihrer Analyse von Äußerungen aus mündlicher Kommunikation auf den Prozess ihrer Entstehung. Die beiden Autoren machen einen ersten Schritt zur Unterscheidung bearbeitender Verfahren, indem sie die reformativen von den nicht-reformativen Verarbeitungsverfahren zu unterscheiden versuchen. Sie stellen aber die Unterscheidungskriterien nicht ausreichend heraus.
    Bührig(1996) identifiziert drei verschiedene Reformulierungssorten(wie Umformulieren, Zusammenfassen und Rephrasieren) und analysiert ihre Vorkommen in institutionellen Handlungsräumen. Ihr Ziel ist es, den spezifischen Innenaufbau der unterschiedlichen Reformulierungen zu rekonstruieren. Die Definition einer Reformulierung als sprachliche Handlung erscheint zwar grundlegend, aber die Abgrenzung der Reformulierung von z.B. Zusammenfassen oder Schlussfolgern ist nicht immer eindeutig.
    Steyer(1994; 1997) beschäftigt sich mit Reformulierungsrelationen, die sich über einen intertextuellen Zusammenhang herstellen. Sie untersucht besonders die Redewiedergabeforschung, wobei die Reformulierung als ein Mittel der Redewiedergabe angesehen wird. In der Steyerschen Untersuchung spielen Kontextausdrücke eine größere Rolle als bei Gülich/Kotschi.
    Am Ende meiner Arbeit werden die vier Reformulierungstypen unterschieden wie Paraphrasen, Rephrasieren, Präzisieren und Relativieren. Diese Reformulierungstypen sind aufgrund der geeigneten theoretischen Konzepte weiter zu entwickeln, die dann in der empirischen Analyse der Reformulierungen angewende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