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淵齋學派의 사상과 민족운동 (Thoughts and National Movements of the Yeonjae-schoo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08
40P 미리보기
淵齋學派의 사상과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59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김상기

    초록

    淵齋學派는 연재 송병선과 동생 宋秉珣의 문인 집단을 말한다. 송병선과 송병순은 충청도 지역은 물론,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강학을 통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송병선은 불교와 천주교를 이단이라고 비판하였으며, 여러 차례의 상소를 통하여 위정척사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도가 없어지면 나라가 망한다고 믿었다. 이에 따라 그는 나라를 구하기 위한 척사론을 주장하였다. 송병순은 관료를 멀리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는데, 특히 송시열의 학문을 존신하여 소중화론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일본과의 강화조약이 침략의 시작이라면서 척왜론을 주장하였다.
    송병선과 송병순은 여러 차례에 걸친 정부의 관직 제수에도 이를 거절하고 재야 유학자로서의 길을 걸었다. 1905년 일제에 의한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송병선은 고종을 알현하고 오적의 처단과 조약의 폐기를 주청한 뒤에 자결하였다. 송병순 역시 상소를 올려 오적의 처단과 전국 유림의 궐기, 그리고 조약의 파기를 주장하였다. 그는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는 자결을 기도하였으나 제자의 제지로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912년 ‘은사금’을 거부하며 자결 순국하였다.
    송병선 송병순 형제의 순국은 그의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어 일본에 항거하여 투쟁한 민족지사가 적지 않다. 그중 대표적인 인물로 스승과 같이 자결한 朴炳夏와 李柱煥이 있다. 鄭璣淵과 李柄運 등은 을사조약 폐기운동에 참여하고 향리에 은둔하였다. 안규용은 「殉義事實」를 편찬하여 안규홍의병의 활동상을 전하였으며, 문인들에게 항일사상을 고취한 일로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張基洪은 최익현 의병에 참여하였으며, 曺在學와 金容鎬, 宋柱憲 등은 1919년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고 고초를 겪었다. 이외에도 趙鍾悳 등 많은 문인들은 일제강점기 은둔하여 스승의 정신을 이어 일제에 항거하였다. 이처럼 연재학파의 문인들은 스승의 뒤를 쫓아 自靖의 길 택했다. 그중에 자결을 택한 이도 있으나 대부분은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은둔의 길을 택한 특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Yeonjae-school refers to the group of disciples of Song Byeong-seon(宋秉璿) and his brother Song Byeong-soon(宋秉珣). They cultivated many students through lectures in Chungcheong Province as well as Cholla and Kyungsang area.
    Song Byeong-seon criticized Buddhism and Catholicism as heresy. In addition, he proposed Wijeongcheoksaron(Thought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rough several appeals to the king. He believed that the country would be ruined if Tao(道) was lost. He thus insisted on Wijeongcheoksaron to save the country. Song Byeong-soon distained himself from the bureaucracy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in particular, he highly praised Sojunghwaron(Sinocentrism) of Song Si-yeol(宋時烈) and strongly advocated the theory. He also argued that the Treaty of 1876, signed with Japan, marked the beginning of the invasion and objected to it.
    Song Byung-seon and Song Byung-soon refused to accept ranks several times and lived as a Confucian scholar. When the Treaty was enforced by Japan in 1905, Song Byeong-seon met King Gojong and demanded for the execution of ‘Five Traitors’ an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After knowing that his will would not be accepted, he committed suicide for the country.
    Song Byung-soon also appealed to the king, asking for the execution of the ‘Five Traitors’, the uprising of Confucian scholars, an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In 1910 when the country is annexed, he attempted to commit suicide, but he was restrained by his disciple, not to fulfill his desire, in 1912 he finally committed suicide after refusing Japan’s ‘Eunsageum’(‘恩賜金’).
    Song Byung-soon Brother’s suicide for the country influenced on his disciples, and many of them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Among them, Park Byeong-ha and Lee Ju-whuan committed suicide like master, some of them participated in Righteous Army struggling against Japanese army, and most of them retreated to the countryside, carried on the teacher’s education and cultivated his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