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지역 석조문화재 풍화, 훼손 특성 (tem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7.08
30P 미리보기
경주지역 석조문화재 풍화, 훼손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30호 / 243 ~ 272페이지
    · 저자명 : 정종현, 정민호, 손병현

    초록

    우리나라 석조문화재는 그 규모가 매우 크므로 옥내에 보존할 수 없어 옥외에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비, 바람, 습기, 신한 온도 차 등의 환경적 요인과 이끼, 지의류 등과같은 미생물의 성장으로 원래의 모습과 달리 많이 훼손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산성비와 같은 환경오염이 심각히 대두 되고 있어 1000여 년간 잘 보존되어오던 석조문화재가 급속히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각의 윤곽이 희미해지고 비문도 못 알아 볼 정도로 훼손되고 있어 어느 문화재보다 과학적인 보존처리가 시급한 단계이다.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는 2006년 현재 1,286점으로 국보급 및 보물급의 문화재 총 4,409 점의 29.2%에 달하며, 이들 석조문화재의 지역별 분포를 비교한 결과, 경상북도(143점), 전라남도(72점), 경상남도(58점), 충청남도(46점), 강원도(44점), 충청북도(40점), 서울(35점), 경기도(33점) 순이었다. 경상북도에는 143점의 석조문화재가 분포되어 있으며, 전국의 석조문화재 533점과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26.8%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2007년 현재 경주지역에는 국가지정 문화재와 지방지정 문화재 및 비지정 문화재는 각각53점, 40점, 37점으로서 경주지역에 총 130점의 석조문화재가 분포되어 있고, 국가지정 문화재중 국보 15점, 보물 37점, 사적 1점, 경상북도 지방지정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21점, 기념물1점, 문화재자료 18점이 조사되었다. 경주지역과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를 비교한 결과, 경주지역에는 10.1%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역의 석조문화재 중에서 국보 64점 및 보물 469점과 비교한 결과, 경주지역에는 23.4%와 7.9%의 국보 및 보물급 석조문화재가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라시대에 제적된 석조물은 다른 재질의 문화재에 비하여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보존에 크게 관심을 덜 가지게 된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 쓰러진 문화재나 파손된 문화재의 보수 및 복원에 힘써 왔으며 선진국에서와 같이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을 막는 과학적인 연구는 기초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경주 지역의 석조문화재도 대부분 옥외에노출되어 있어 균열 및 박리 박락현상, 부재의 결실, 표면 오염물 침착과 변색에 의한 백화현상, 이끼, 지의류, 수목 등 석조물 표면의 생물서식에 의한 훼손, 지반의 구조적 불균형에따른 도괴 현상이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향 후 적극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Because almost all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outdoors and long time exposure to nature, the external appearance has been largely deteriorated due to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such as typhoon, microorganisms, wind, moisture, extreme change in temperature, air pollutants, and salts. As we already know, damage to stone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accelerating particularly due to rec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e present year 2006, Korea has designated 1,286 piece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s national treasures, which is 29.2% of the total 4,409 regarded as national treasures. These stone cultural properties are sequenced into mostly Gyeongsangbuk-do(143), Jeonllanam-do(72), Gyeongsangnamdo( 58), Chungcheongnam-do(46), Gangwon-do(44), Chungcheongbuk-do(40), Seoul(35), Gyeonggi-do (33), etc. Gyeongsangbuk-do has 143 piece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s national treasures, which is 26.8% of the total 533 regarded as national treasures. For the current year 2007, Gyeongju possess 53 pieces(national treasure : 15 pieces, treasure : 37 pieces, historical site : 1 piece) of national cultural property, which is 41% of the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and 40 pieces(tangible cultural property : 21 pieces, monument : 1 piece, important folklore material : 18 pieces) of the city or provincial cultural property. Gyeongju has 130 piece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s national treasures, which is 10.1% of the total 1,286 regarded as national treasures.
    The deterioration and weathering processe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Among these processes, physical deterioration is most destructive.
    But, microbial films growth on the surface of rock they change the chemical and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the fresh rock and resulted in chemical and biological deterioration. Because the deterior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s interacted in a complex way,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interrelations between phyco-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other researches and our on-the-spot investigations, basically most of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ju were deteriorated seriously. So, we need a study to solve the desirable procedures and the proper method for the conserv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we need it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