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 의례의 인도적 연원의 의의_재(齋), 포살(布薩), Upavasatha_ (The Indian Origion of Korean Buddhist Rituals: Ceremony, Upoṣadha, Upavasath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한국불교 의례의 인도적 연원의 의의_재(齋), 포살(布薩), Upavasatha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4호 / 65 ~ 92페이지
    · 저자명 : 성청환

    초록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재(齋)의식에서 공통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승려에 대한 공양’의 의미의 연원을 밝히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재(齋)의식의 기원을 포살(布薩)이라고 하고, 이 포살(upoṣadha)은 베다 의례의 우파바스타(upavasatha)에서 연원한다.
    예비제인 우파바스타는 본 의례를 잘 치르기를 원하는 제주(祭主)가 신들과 함께 머물면서 본 의례까지의 시간을 기다리는 ‘성스러운’ 날을 의미한다. 신성함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은 ‘금식’을 실천하는 것이다. 우파바스타는 기본적으로 출가자가 아닌 세속의 삶을 살아가는 바라문교의 가장을 위한 의례이며, 일상에서 벗어난 상태 즉 성스러움을 경험할 수 있는 청정함을 요구하며 구체적 실천 방법은 금식이다.
    불교의 포살은 출가자와 재가자를 위한 두 방향의 의례로 변용되어 확장된다.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 포살 기간 동안 금식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한 의무 중의 하나이다. 포살의 중요한 특징은 출가자와 재가자가 금식 이후의 행위와 이에 대한 관계의 설정이다. 베다 의례에서 공양의 대상은 신들이나 신들의 화현이 되지만, 포살에서는 출가 수행자가 대상이며, 재의식에서는 상단의 불보살뿐만아니라 중단에서 설행되는 식당작법의 목적인 반승(伴僧)의 승려도 포함된다. 우파바스타에서 음식은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것이지만, 인간에게는 절제해야 하는 일종의 터부의 대상이다. 포살에서 음식은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 포살 기간 동안에는 절제해야 하는 것이지만, 포살 이후에는 공경의 대상인 승가의 위상을 상징하는 매체로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reveals the meaning of 'offering food for monk' which is a common factor in the representative ceremony of Korean Buddhism.
    Generally, the origin of the ritual ceremony(Jae, 齋) is called ‘observance day (布薩)’ which is derived from the term, ‘upavasatha’ in Vedic ritual. The ritual ceremony(Jae, 齋) is usually the transliteration of poṣadha, upoṣadha.
    In a Buddhist day of observance, lay-devotees have to go to saṃgha in the morning and receive the Eighth Order from monks and obey it, and in the afternoon hear the sermon from monks. The next day, when lay-devotees take the action and serve ‘offering food for monks.’ The ‘observance day’ by lay-devotees coexists with the practice of purity and the respect for the saṃgha.
    It is fasting to emphasize in both monks and lay-devotees during observance day. After practicing fasting, lay-devotees expresses that the monks are a subject of honor by offering food. This rite has its origins in the upavasatha of Vedic rituals which means "holy" day by the ritual performer. The rite for maintaining sanctity is staying with the gods and waiting for the time until the main rite.
    Upavasatha is basically a ceremony for the patriarch of the Brahmanism that householders lives a secular wrold rather than mendicant’s life. It calls for a cleanliness to experience the state of being out of daily life, that is, the sanctity, and concrete action method is fasting. The Buddhist upoṣadha, which embraces the rightist values, is expanded and transformed into a two-way rituals for monks and laymen. It is one of the important duties of both the monks and the laymen to observe fasting during the period.
    An important feature of the ritual is the sett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 and the householder after the fast. In the Vedic ritual, the objects of the sacrifice are the voices of gods, but in the Buddhism, the monk who is the ritualist is the object of honor. In the re-consciousness, it includes not only the Buddhist monastery at the top but also the Buddhist mon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