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시장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디자인 (Online Shopping Service Design Based on Traditional Market Consumer Experien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9
10P 미리보기
전통시장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디자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3호 / 215 ~ 224페이지
    · 저자명 : 신진수, 윤재영

    초록

    IT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로 언택트(Untact) 문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식료품의 장보기또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에맞춰 기존의 온라인 유통업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중심의 대형 유통업체들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매장으로 시장을 넓히고 있지만, 노령화와 개개인의 소상공인들로 구성된 전통시장은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를 구축하기 쉽지 않다. 이에 정부는 기업과의 협업을통해 전통시장의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통시장 환경에 맞춘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유통기업에 맞춰진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가 아닌, 전통시장의 환경과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여 전통시장의 장점과 특색을 살릴수 있는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료품 채널에 대한 조사와 기존의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에대한 인식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상용중인 전통시장의 장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찰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후 도출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뒤,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1)다양한 연령대를 고려한 단순한 디자인구조, 2)‘상품의 신선도’와 ‘배달의 신속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 구조, 3)사용자의 위치 기반서비스를 통한 ‘현재 지역’ 및 ‘지정 지역’의 시장정보와 배달 가능 지역 시간 등을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 4)다양한 환경의 전통시장과 입점 가게의 정보와 및 홍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 5)주문의 편의성을 위한 간편 결제, 지역 화폐, 전화주문등과 같은 결제시스템의 다양화, 6)소비자와 시장 상인들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전통시장과 상인들의 홍보가 가능한 서비스 제공, 7)상인들이 직접 운영하기 쉬운 관리자 페이지, 8)전통시장과 시장 상인들에게 각각의 독립적인 온라인 스토어로서의 서비스 제공등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 검증조사 결과, 기존전통시장 장보기 서비스에 비해 배송지 설정, 시장 선택, 주문 및 배송의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장의 장보기 서비스 디자인뿐만 아니라 전통시장의 환경에 맞춘 온라인 사용자경험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Due largely to the development of IT and the spread of COVID-19, there is a growing movement of Untact, and the grocery shopping is moving from offline to online. In step with this movement, not only online distributors but major offline distributors are joining the movement, trying to expand their sphere of influence into the online market. For all the trial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market characterized by aging and individual sellers to establish a united service. To do about this issue, the government is providing the online shopping service via the conventional market in cooperation with corporations, but is still unable to provide a customer-oriented service that is tailored to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an online service which reflects the user experience, highlighting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not on the one that adjust to major distributors.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on grocery channels and the existing online shopping service of traditional market has been conducted. Based on what is studied, the interview for people understanding of online shopping service has been made, and the observation of users has been made, using the commercialized shopping service of traditional market. Then, with the insight from the studies, we made a prototype and evaluated usability.
    The result indicates as follows; 1)a simple design structure considering a wide range of age, 2)a structure where the faith in the freshness of products and quick delivery could be elevated, 3)a structure which can clearly provide information on delivery availability and market information via location based services, 4)a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offer the information over and promote shops in those markets, 5)diversification of payment system, including simple payment, local currency, and phone order, 6)services to foster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customers and merchants, and the promoting the markets and merchants, 7)pages that merchants can easily manage, 8)providing service as an online store independent from the conventional markets and merchants are some of the insight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As a result of the protype test based on those insights, it is shown that the usability of setting shipping destination, choice of market, order and delivery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physical market shopping. It is relevant that this study offers insights on not only shopping service design of traditional market, but only user experience tailored to conventional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