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長源의 <常變通攷> 編纂과 退溪學派의 禮學 傳統 (Ryu Jang-won’s Compilation of 『SangbyeonTonggo』 and the Tradition of Yehak from the Toegye School)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12
20P 미리보기
柳長源의 &lt;常變通攷&gt; 編纂과 退溪學派의 禮學 傳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4호 / 57 ~ 76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혜

    초록

    이 논문은 東巖 柳長源(1724-1796)이 편찬한 『상변통고』를 분석하여 류장원의 예학에 대한 사유와 퇴계학파의 예학 전통, 그리고 <상변통고>의 의미를 간략하게 규명한 것이다.
    퇴계학파의 일원이자 李象靖의 제자인 류장원은 평생을 處士로 經學과 禮學의 학문에 몰두하고 후학들을 지도하는 講學에만 매진하였다. 안동 수곡 류씨인 그는 퇴계학파의 學風과 鄕風, 家風 속에 수립된 경학과 예학의 학문 전통을 이어 받아 『상변통고』를 편찬했다.
    <상변통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성과는 ①책의 제목에서부터 ‘家禮’ 혹은 ‘四禮’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났다는 점. ②變禮를 통한 시의성을 제시하였다는 점. ③鄕禮, 學校禮, 國恤禮를 추가하여 예학의 본의, 곧 예를 통한 이상사회를 이룩하고자 하는 사유를 넣었다는 점. ④학문적 당파성을 넘어 회통하려는 의도로 노론과 소론의 예설을 다수 인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점으로 인해 <상변통고>는 영남 남인을 넘어 조선 후기 예학계에 중요한 한 획을 그었으며, 예학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결론적으로, <상변통고>가 이룬 성과는 당시까지 이루어진 예학의 성과를 집대성하였으며, ‘常’만의 경직성이 아니라 ‘變’을 통한 시의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당파를 초월한 순수한 학문적 會通을 모색하고, 유가의 예학적 이상을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gam Ryu Jang-won’s (1724-1796) 『SangbyeonTonggo』, briefly determining his ideas of yehak, the tradition of yehak from the Toegye school and the very meaning of 『SangbyeonTonggo』.
    Ryu Jang-won was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and a disciple of Lee Sang-jeong. He spent all his life in studying yehak and gyeonghak as a retired scholar and devoted himself to teaching younger scholars throughout his life. From the Andong Sugok Ryu clan, Ryu Jang-won succeeded the traditions of yehak and gyeonghak, which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academic, regional and family traditions of the Toegye school and, accordingly, compiled 『SangbyeonTonggo』.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r achievements of 『SangbyeonTonggo』 were ①going beyond conventional principles of garye or sarye, as suggested by its title, ②accepting variations in courtesy, or byeonrye to comply with its contemporary times, ③ deepening speculation on the very intent of yehak, that is, realizing the ideal society based on courtesy, by adding hyangrye, hakgyorye and gukhyulrye and ④quoting many theories of courtesy from the Noron and the Soron parties to come true a nonpartisan harmony between the different academic circles. Thus, it is recognized that 『SangbyeonTonggo』 made an important epoch in the circles of yehak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just staying as an outcome by the Nam-in faction of Yeongnam region and that it was a new breakthrough of yehak.
    In conclusion, the most representative achievements of 『SangbyeonTonggo』 were that it compiled accomplishments related to yehak which had been made before the compilation, that it complied with its contemporary times not by sticking to permanency in courtesy, or sang, but by accepting variations in courtesy, or byeon and that it sought to realize a nonpartisan purity and harmony in academics and further the Confucian ideal of ye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