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 ․ K생’의 그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과 트랜스내셔널 공론장 (The Shadow of ‘T ․ K’: 「Communication from Korea」 and the Transnational Public Foru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2.10
29P 미리보기
‘T ․ K생’의 그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과 트랜스내셔널 공론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88호 / 9 ~ 37페이지
    · 저자명 : 허병식

    초록

    본고에서는「한국으로부터의 통신」(韓国からの通信)은 1973년부터 1988년 3월호까지 T ․ K생이라는 익명으로 발표되었다. 연재가 다 끝날 때까지 T.K생이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2003년 지명관은 스스로가 T ․ K생임을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이는 엄혹했던 시대와 정권의 시선으로부터 익명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저자의 이름이 귀환하는 의미 깊은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억압된 이름이 귀환하는 장면이란 사실은 그 이름 속에 숨어 있는 수많은 한국의 민중들과 지식인들의 목소리를 지명관 자신의 이름으로 회수해 버리는 것이기도 하다. 「통신」은 한일연대라는 트랜스내셔널한 정보교환의 산물일 뿐 아니라, 그 연대로부터 발신하는 정치적 상상력을 보여준 중요한 성과로 기억되어야 한다.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창비, 2008)이 「통신」의 내용을 정리하고 재진술하면서 드러내고자 하는 정념들 속에는 많은 정념들이 뒤섞여 있고 그것을 자유간접화법의 발화 속에 담고 있다. 「통신」 속에서 발화되었던 이질적인 말들을 『동아일보』와 『아사히신문』이라는 당대 신문의 발화 속에 배치함으로써 지명관 자신의 특정한 욕망을 투사하고 관철하려 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한 시대를 회고하고 그 의미를 정리하려 하는 저자의 특정한 이데올로기와 정념들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T.K생이라는 이름이 지니고 있던 고유한 의미와 「통신」이 담아내려 했던 시대적 의미를 제한하고 속박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도 하다.
    지명관은 스스로가 T.K생임을 기자회견을 통해 밝힘으로써 엄혹했던 시대와 정권의 시선으로부터 익명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저자의 이름을 회수했다. 그것은 T.K생이라는 고유명을 개인의 이름으로 대체하는 순간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고유명은 개인을 지칭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T.K생'이라는 이름은 앞으로도 오래도록 지명관이 아니라 T.K생으로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Communication from Korea” was published anonymously, from 1973 to March 1988, under the name of T ․ K. It was not revealed who the T.K was until the serialization was finished. In 2003, Ji Myung-gwan announced at a press conference that he was a T.K. This is a meaningful scene in which the author's name, who had to remain anonymous from the harsh times and the government's gaze, returns. However, the fact that this repressed name is returning is also the fact that the voices of many Korean people and intellectuals hidden in the name are retrieved under the name of the name of the Ji Myung-gwan. ‘Correspondence’ should be remembered not only as a product of the transnational information exchange of the Korea-Japan solidarity, but also as an important achievement that showed the political imagination emanating from that solidarity.
    Many passions are mixed in the passions that ‘Communications from Korea’ (Changbi, 2008) intends to reveal while organizing and restating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s’, and they are contained in the utterances of the free indirect speech method. By arranging the disparate words uttered in the ‘Correspondence’ in the utterances of the contemporary newspapers ‘The Dong-A Ilbo’ and ‘The Asahi Shimbun’, it attempts to project and carry out the specific desires of the top officials. Through this, readers can identify and understand the author's specific ideology and passion, which is trying to reminisce an era and organize its meaning. It also has the function of limiting and binding the unique meaning of the names of T.K and the meaning of the times that ‘Communication’ was trying to convey.
    By revealing through a press conference that he was a T.K, the author's name was recovered from the harsh times and the government's gaze. It is the moment when the proper name of T.K is replaced with the name of an individual. However, it is clear that ‘proper names do not refer to individuals.’ Therefore, the name ‘T.K’ should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to come, not as a place name Ji Myung-gwan but as a T.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