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論語』 ‘子夏之門人小子’장에 대한 朱熹의 사유전환 (Zhuxi’s transformation of interpretation on Lunyu 19:12)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9
31P 미리보기
『論語』 ‘子夏之門人小子’장에 대한 朱熹의 사유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0호 / 419 ~ 449페이지
    · 저자명 : 정환희

    초록

    소흥 26년(1156) 봄 어느 소쩍새 우는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한 청년 주희는 『論語』 「子張」의 ‘자하지문인소자’ 장에 의구심을 갖다가 이내 결국 그 뜻을 깨우친다. 그것이 바로 그 유명한 ‘소쩍새 우는 밤의 깨달음[杜鵑之悟]’인데, 이 논문에서 나는 이 사건이 ‘소흥 26년 봄’에 있었다는 추가적인 논거를 제공한다. 정호나 사량좌의 북송의 유학자들은 ‘자하지문인소자’장을 해석하면서 공부의 본말(本末)을 구별하나 이원적으로 규정짓는 폐해를 경계하였다. 그리고 청년 주희도 이러한 일원론적 관점을 수용하였으나, ‘소쩍새 우는 밤의 깨달음’을 계기로 북송 유학자들의 해석을 회의한다. 그리고 공부에 있어 본말ㆍ선후(先後)ㆍ정조(精粗)를 준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장을 바꾸었다. 그러나 ‘소쩍새 우는 밤의 깨달음’은 완결된 깨달음이 아니었다. 그는 스승 이통을 만나 ‘리일분수’ 관념을 학습했다. 이를 통해 구체적 상황[末]에 근거하여 도덕적 원리를 체인[本]하되 그 구체적 상황은 일관적 도덕원리와 무관하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었다. 즉 주희는 현상의 다양성과 이치의 일관성을 함께 인정하는 종합적 관점을 세우게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청년 주희가 스승 이통을 만난 것은 유가의 진리를 깨닫게 된 하나의 전환점이었으며, ‘소쩍새 우는 밤의 깨달음’은 주희의 유가적 각성을 더욱 추동시켰다.

    영어초록

    In the spring of 1156, on the night of cuckoos’ cry, Zhuxi, a young man who couldn’t sleep, had doubts about Lunyu 19:12, and soon realized its meaning. In this paper I provide additional clues that this event was in the 1156 Spring. Confucian scholars in Northern Song, such as Chenghao(程顥) and Xieliangzuo(謝良佐), interpreted the root[本] and the end[末] organically. Young Zhuxi also accepted this monism, but he was skeptical about these interpretations in the wake of the realization of the night when the cuckoos’ cry. He also changed his perspective tha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root, end and beginning and end[終始] of the study. However, the awakening of the night was not a complete realization. He met his teacher, Litong(李侗), and learned the concept of a ‘liyifenshou(理一分殊)’. Zhuxi learned the lesson that on the basis of a specific situation, the moral principle was obtained, but that the specific situation was in line with a consistent moral principle. Therefore, Zhuxi established a comprehensive view that recognized the diversity of phenomena[分殊] and the consistency of principle[理一]. In this regard, the awakening of the night with the cuckoos’ was a turning point for young Zhuxi to realize the core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