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2.04
26P 미리보기
張經世의 &lt;江湖戀君歌&gt;와 法古 創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31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상진

    초록

    이 논문은 장경세의 <강호연군가>를 대상으로 문학 작품에서 법고와 창신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고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강호연군가>는 작자의 발문에서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모방하였다고 밝힘으로써 그 영향권 내에 있음을 스스로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강호연군가>가 <도산십이곡>을 어떻게 본받고 또 자신만의 개성을 어떻게 드러냈는가의 여부를 연암 박지원의 문장이론인 ‘법고창신’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법고창신을 논의하기에 앞서 작자인 장경세와 <강호연군가>에 대한 대략적인 면모를 고찰하였다. 장경세의 인물 됨됨을 보면 세상에 나아가기 보다는 스스로 潛心하여 충효나 학문에 침잠하기를 즐겨하였다. 그의 이러한 성향은 87수의 <유선사>와 연시조인 <강호연군가> 12수의 창작으로 이어진다. 전육곡과 후육곡으로 이루어진 <강호연군가>는 유기적 연결보다는 여섯 수가 하나의 뜻을 지향하는데 치중하여 연시조로서의 의미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법고 창신의 측면에서 <강호연군가>를 보면, <강호연군가>는 <도산십이곡>의 효용적 가치와 작품의 전반적인 구성에서 법고를 취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산십이곡>이 修養을 지향하며 연시조로서의 유기성을 중요하게 여긴 것과는 달리, <강호연군가>는 유기성 보다는 전후의 여섯 수가 하나의 의미를 지향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전육곡은 애군우국의 정성을, 후육곡은 성현학문의 바름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곧 <강호연군가>에서 창신의 면모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 expression of Bubko(法古) Changsin(創新) appeared in Jang, Gyung-se(張經世)' <Ganghoyungoonga> (<江湖戀君歌>). The Bubko and Changsin are YunAm(燕巖) Park, Ji-won(朴趾源)'s theory of sentence. <Ganghoyungoonga> is, the author said that mimics <Dosansibigok>(<陶山十二曲>). Therefore, it is in its orbit. In this paper is <Ganghoyungoonga> portion of the mimics <Dosansibigok>(This is the work of Lee, Hwang(李滉)) and shall not separate portions.
    The order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ng, Jang Gyung-se and <Ganghoyungoonga> were investigated. He studies hard, but is a passive character. This tendency of his appears that as with the creation of <Yoosunsa> (<遊仙詞> 87 piece) <Ganghoyungoonga>(12 piece). <Ganghoyungoonga>. This work was composed first six lyrics(前六曲) and second six lyrics(後六曲). So,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work is insufficient as Yunsijo(연시조).
    The following is a study of Bubko Changsin. <Ganghoyungoonga> is the <Dosansibigok> that Bubko is the two. Useful value and the overall organization of the work this is it. However, the <Dosansibigok> is Song of the cultivate and the important think of organic structure. On the other hand, <Ganghoyungoonga> is a combined with organic rather than the six works will be oriented. That is to say, First six lyrics(전육곡) are expressed AegoonWoogook(愛君憂國), Second six lyrics(後六曲) are SunghyeonHakmoon(聖賢學問). And this is the Changsin of the <Ganghoyungoong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