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주(御注)의 『도덕경』 제80장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emperor commentary on Chapter 80 of 『Tao Te Chi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4.11
32P 미리보기
어주(御注)의 『도덕경』 제80장 해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83호 / 75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용

    초록

    이 글은 노자의 이상국가론으로 알려져 있는 『도덕경』 제80장에 대한 4부 어주의 해석을 고찰한다. 『도덕경』 제80장에서 노자는 이상사회의 국가의 규모, 군주의 교화, 백성의 생활을 제시한다. 그런데 중국은 진한시대 이후 문명이기가 발달하고 인적 교류가 활발한 ‘광토중민’의 대제국시대로 진입하였다. 그러므로 노자의 이상국가론은 점점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국가론이 되어 버렸다. 주석가의 임무는 텍스트의 본의를 규명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본의를 재해석하여 자신의 시대에 적용 가능한 내용을 발견하는 것이다. 어주는 학술의 관점이 아닌 군주의 관점에서 고대 경전을 재해석하여, 자신의 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정치사상을 발굴하고자 한다. 4부 어주는 각각 다음 같은 특징이 있다. 당현종어주는 ‘소국과민’의 의미를 국가의 규모를 키우려는 욕망을 버리라는 군주에 대한 명령으로 이해하고, 국가의 규모와 무관하게 군주가 ‘광토중민’의 욕망을 갖지 않는다면 이상사회가 자연스럽게 실현된다고 말한다. 송휘종어주는 『장자』 에서 서술한 인의예악으로 나라를 다스린 성인이 등장하기 전 지덕의 세상과 『도덕경』 제80장에서 서술한 이상사회를 동일시하여, 이상사회실현은 ‘인위’의 정치가 아닌 ‘무위’의 정치로써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명태조어주는 『도덕경』 제80장에서 노자가 정치적 경제적 기득권자의 탐욕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국가의 규모와 무관하게 군주에게 탐욕이 없다면 모든 국가에서 태평한 사회 건설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청세조어주는 『도덕경』 제80장에 노자가 서술한 이상사회는 도를 가진 군주가 ‘광토중민’의 국가가 아닌 ‘소국과민’의 국가를 다스렸을 때만 실현될 수 있다고 분명히 밝힌다. 4부 어주의 『도덕경』 제80장에 대한 이해방식은 다르지만, 4부 어주는 『도덕경』 제80장에서 서술한 백성이 국가를 등지고 떠나지 않는 사회를 군주가 건설해야 할 이상적 국가로 이해한다. 이러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4부 어주가 『도덕경』 제80장에서 주목한 것은 민심이반을 막기 위해 군주에게 필요한 덕목이다. 4부 어주에서 노자의 이상사회를 인심이 순박하고 인정이 두터운 사회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사회가 실현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 군주의 ‘무욕’이라고 강조한다. 이처럼 4부 어주는 『도덕경』 제80장에서 말하고 있는 국가의 규모 및 군주의 교화와 백성의 생활에 주목하기보다, 군주가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 추구하고 실천해야 할 덕목은 무엇인지를 『도덕경』 제80장에서 찾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on Chapter 80 of 『Tao Te Ching』, known as Lao Tzu’s theory of an ideal state.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Lao Tzu presents the scale of the state, the education of the monarch, and the lives of the people in an ideal society. However, since the Qin and Han dynasties, China has entered the era of the great empire of the ‘In a big state with a large people’ with advanced civilization and active human exchange. Therefore, Lao Tzu’s theory of an ideal state has become an increasingly unrealistic theory of the state. The task of the commentator is not only to clarif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xt, but also to reinterpret that original meaning and discover content applicable to one’s own era. The emperor commentary is that it reinterprets ancient scrip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arch, not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nd tries to discover political ideas that can be applied to one’s own time.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each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ang Xuanzong’s emperor commentary interpreted the meaning of ‘In a little state with a small people’ as an order for the monarch to give up the desire to expand the size of the state, and said tha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ate, if the monarch has no desire to ‘In big state with a large people’ the ideal society is naturally realized. Song Huizong's emperor commentary equates the age of perfect virtue before the emergence of the sage who ruled the state with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music described in 『Chuang Tzu』 with the ideal society described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and believes that the realization of an ideal society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politics of ‘Wuwei’ rather than the politics of ‘Renwei’. Ming Taizu's emperor commentary understands that Lao Tzu was warning against the greed of those with political and economic vested interests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and said tha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ate, if the monarch was free from greed, a peaceful society could be built in all states. Qing Shizu's emperor commentary clearly states that the ideal society described by Lao Tzu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can only be realized when a monarch with Tao governs the ‘In a little state with a small people’ rather than the “In a big state with a large people’. Although the way of understanding Chapter 80 of 『Tao Te Ching』 of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are different,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understand the society described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in which the people do not turn their backs on the state which is understood as an ideal state that a monarch must build. In order to build such an state, what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focus on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is the virtue necessary for the monarch to prevent the people from turning their backs on him.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define the ideal society of Lao Tzu as a society in which people are pure-hearted and warm-hearted, and emphasiz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realization of such an ideal society is the monarch’s ‘Having no desir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cale of the state, the monarch’s education, and the people’s lives mentioned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the four emperor commentaries seek to find in Chapter 80 of 『Tao Te Ching』 the virtues that the monarch should pursue and practice in order to build a socioeconomically stabl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