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성과 젠더규범 그리고 『플레이보이』: 젠더질서의 유동성과 가부장 없는 가부장 문화의 부상을 중심으로 (Playboy and the Sexual and Gender Norms in the 1950s: Focusing the Flexibility of the Patriarchy and the Emergence of Patriarchal Culture without the Patriarch)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05
41P 미리보기
1950년대 성과 젠더규범 그리고 『플레이보이』: 젠더질서의 유동성과 가부장 없는 가부장 문화의 부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39권 / 77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정욱

    초록

    1953년 창간된 『플레이보이』는 반공주의 정치관, 자본주의의 우월성에 대한 믿음 그리고 규격화된 성과 젠더규범을 공유했던 ‘안정된’ 시대로 여겨지는 1950년대의 역설을 반영한다. 이 잡지는 조직자본주의 체제가 강요하는 일상성에 대한 중간계급 남성들의 반발 심리를 여성과 결혼 가족제도에 대한 혐오감으로 전환시켰고 자유로운 성적 욕구의 실현과 독신주의를 옹호하면서 당대의 성과 젠더 규범에 충격을 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잡지는 기존 연구가 인식한 것보다 더욱 남성중심적이었고 가부장제 친화성을 가지고 있었다. 기존 연구들은 『플레이보이』가 남성과 여성을 모두 성적인 존재로 각성시키고 그로인해 젠더경계를 혼란시키고 또한 결혼, 가족과 같은 전통적으로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사회제도들의 권위를 약화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플레이보이』는 대다수의 여성들을 그들이 새로운 남성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이상화한 성적 모험에서 제외했을 뿐 아니라 결혼과 가족 제도의 속박을 벗어나 남성과 동일하게 자유롭고 호전적인 성적 실현을 추구하는 여성들을 여전히 수동적인 존재로 형상화함으로서 욕망의 민주주의를 젠더구획적 개념으로 만들고 있었다. 나아가 『플레이보이』는 회사를 직업적 성공을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지배권을 얻는 장소로 재구성함으로써 탈규범적 성적 자유를 통한 남성성의 실현을 주장하면서도 독자들과 자본주의 간의 화해를 촉진하고 있었다. 저항과 순응의 텍스트로서『플레이보이』는 대중문화가 이중적 사회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이다. 그러나 동시에 『플레이보이』는 1950년대의 순응성이 사회적 저항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불안정한 것이었으며 그러기에 50년대가 지배적인 삶의 양식을 확산시키면서도 임박한 사회적 저항을 예비한 모순의 시대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Playboy,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53, reflected the irony of the 1950s, an era regarded as the most conservate era of the twentieth century promoting anti-communist political agendas, strong beliefs in corporate capitalism, and especially rigid sexual and gender roles. The magazine reflected middle-class men’s discontent toward corporate capitalism, but channeled it to the hatred of women and family. Accordingly, it partly destabilized existing sexual and gender roles by advocating free sex and bachelordom and deconstructing such patriarchal systems as the marriage and family. Nevertheless, Playboy was more male-centered than existing studies recognize. These studies argue that Playboy constructed men and women as equals, vis-à-vis their desires and confused cultural boundaries between the sexes. However, the magazine actually excluded the majority of women from sexual adventures, which was regarded as a new way to realize masculinity. While it allowed some women who shared aggressive sexual desire and dissociated them from marriage and family, Playboy still made these women innately passive and only temporarily adventurous. Accordingly, Playboy never advocated the democracy of desire or blurred cultural boundaries between the sexes. Moreover, Playboy even portrayed offices as men’s castles where men held domination over women’s bodies through success at work and therefore, made their readers reconcile with corporate capitalism by the realization of sexual aggressiveness against social norms. As a text of both resistance and conformity, Playboy demonstrates the double roles of mass culture for resistance and conformity and the irony of the 1950s, which promoted conformity as dominant lifestyle, but presaged impending social turmoil as long as conformity was constructed through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