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6장 105인 사건과 서대문형무소 연구 (A Study on Seodaemun prison during the era Patriots in Seodaemun prison - The Event of 105 People' Case -)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9.08
54P 미리보기
제6장 105인 사건과 서대문형무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족사상 / 3권 / 1호 / 199 ~ 252페이지
    · 저자명 : 양성숙

    초록

    서대문형무소는 일제의 식민지배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탄압기구로서 일제는 이곳을 통하여 한민족의 항일 독립운동을 억압하고 말살하려고 하였다. 즉 1908년 경성감옥으로 신축되어 문을 연 뒤 1945년 광복을 되찾기 까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고문을 받으며 처형당했던 수난과 아픔의 현장이었다. 하지만 다른 의미에서 보면 서대문형무소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한 현장이기도 했다. 최초의 근대감옥인 서대문형무소의 개소와 함께 일제의 직접적인 개입이 시작되었고 감옥제도에 있어서 자주권이 상실되었다. 즉 조선의 전통적 제도가 종지부를 찍고 서구의 영향을 받은 일본 행형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식민지 행형이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애국지사가 전국적으로 궐기하고 항일의 열기가 넘치면서 무차별적인 체포와 투옥으로 감옥의 수용인원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일제 말 전국에는 형무소 17개소, 형무소지소 11개소를 운영하는 등 감옥을 계속 증설하였으나 항일 애국지사를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감옥의 수용 실태는 위생과 급식상태가 마치 짐승우리와 같았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수감 중 사망자가 속출하였다. 대부분의 감방은 햇빛과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어둡고 습기가 차 있는데다 용변시설을 짓지 않아 방안에서 변통을 사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감옥내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항일 애국지사들은 일제침략에 항거하여 감옥 내에서까지 처절한 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105인 사건은 일제가 허위 날조한 최대 규모의 한민족 탄압사건으로 여기에 연루되었던 700여명의 애국지사들이 훗날 항일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의 지도력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05인 사건과 관련하여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인물의 출신지별 분석 결과 총 105명 중 3명을 제외한 98%가 서북지방으로 지칭되는 평북·평남·황해도 출신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건의 발생지가 평북 선천이었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다. 하지만 서구의 근대적 문명을 일찍 접할 수 있었고 기독교 등 새로운 사상과 신문화가 신속히 수용되어 근대사회로 급속히 진행될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지닌 서북지방의 항일세력을 제거시킬 목적에서 꾸며졌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105인 사건의 재판당시 연령별 현황을 보면 40세 이하가 총 105명 중 89명으로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젊은 층이 대거 관련된 것은 일제가 尹致昊·安泰國·梁起鐸·李昇薰 등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미래의 항일 독립운동세력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청년·학생층을 대거 관련시켜 탄압하려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형량별 현황을 보면 105인 사건 피의자들은 경성지방법원(1심)에서 105명 전원이 5년 이상의 중형을 받았다. 그러나 105인 전원 상고 결과 경성복심법원(2심)에서 6년 형 5명, 5년 형 1명, 무죄 99명으로, 1심 때 유죄판결을 받은 105인 중 94%가 무죄로 풀려났다. 이는 재판이 진행되면서 허위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가혹한 고문이 자행된 사실과 그로 이 사건 자체가 허위 날조된 것임이 명백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의 애국계몽 운동가들은 아무런 잘못 없이 간부들은 약 6년씩의 투옥에 처해졌고, 일반회원들도 2년 여간 온갖 살인적 고문을 당하다가 국제여론의 압력 하에 더 이상 구실이 없어 풀려났다. 이들 대부분은 옥고에서 풀려난 이후 불굴의 투지로 국권회복운동을 다시 전개하였으며 항일민족 지도력으로 성장하여 1919년 3·1운동을 견인해 냈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끈 주도세력으로 굳게 자리 잡았다.

    영어초록

    Seodaemun Prison is a representative oppressive body built to more efficiently carry out Japanese colonial rule policies, through which the Japanese attempted to oppress and wipe out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time it was rebuilt as Gyeongseong Gamok in 1908 until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1945, it has been a site of ordeals, and grief where a number of patriotic fighters were imprisoned and executed or tortured to death.
    In the meantim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Seodaemun Prison also served as a venue of spiritual revitalization as patriotic ancestors who f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overcame all the adversities after being imprisoned, and newly explored ways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in this place. With the opening of Seodaemun Prison which was the first modern prison of its kind, the Japanese invaders made a direct intervention, and as a result, the autonomy in prison system was deprived. Eventually, the traditional prison system of Chosun was put to an end, giving its way to the Japanese colonial execution system which had an influence of the West. In the meantime, the Event of 105 Patriots is the largest scale oppression incident ever that had been falsely fabricated by the Japanese aggressors. It also hold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patriotic fighters who were implicated in this incident grew to be leaders in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imprisoned figures related to the Event of 105 Patriots by each location shows that 98% of them(3 out of 105) were from northwestern provinces such as Pyungbuk Province, Pyungnam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is is partly because the Event was originated from Sunchon of Pyungbuk Province and also partly because the Japanese invaders fabricated the event in order to root out anti‐Japanese power in the northwestern provinces which had an outstanding geographical location to rapidly evolve into a modern society by being exposed early to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speedily and by accepting new ideas such as Christianity and cultures. The age of the convicted at the time of the trial of the event was mostly below 40, taking up 85% (89 out of 105) of the total. The massive involvement of younger people in this event was the result of intended oppression by the Japanese against the youth and students who had huge potentials for becoming futur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powers together with relatively widely known national leaders such as Yoon, Chi‐ho, An, Tae‐guk, Yang, Gi‐tak, and Lee, Seong‐hoon. The record of prison term shows that all of the accused involved in the Event of 105 Patriots were given a heavy punishment with more than 5 years at the first instance by Gyeongseong District Court. However, all of them made an appeal to a Higher Court and 5 of them were given 6 year’s term, one of them, 5 year, and 99 of them proved to be not guilty. This means 94% of those who were convicted at the first instance of the trial were released with acquittal. This is because of the disclosure of Japanese fabrication in the course of the trial, as the accused made statements that they had been forced to make false confession due to ruthless tortures imposed on them during interrogation. However, the Event of 105 Patriots attributed to the unjust suffering of activists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f Sinminhoe with more than 6 years’ imprisonment by being falsely charged, and even ordinary members were ruthlessly tortured for 2 years, but later forcibly acquitted under the pressure of public opinion by in international communities. This event brought about a temporary suspension of activities by an underground organization, Sinminhoe and even affected overall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s within the country to the level of withdrawal or shrinkage. However, most of the patriotic fighters resumed their activities for sovereignty restoration movement with invincible determination immediately after being discharged, and grew to be leaders for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They assumed pivotal roles in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nd further turned themselves into great lead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et up at Shanghai,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