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莊義寺의 창건 배경과 장춘랑파랑설화 (Backgrounds of Establishment of Jangui Temple and the Folk Tale of Jang Chun-Rang and Para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06
41P 미리보기
莊義寺의 창건 배경과 장춘랑파랑설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6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박찬흥

    초록

    莊義寺는 죽은 先臣 長春과 罷郞의 명복을 빌기 위해 태종무열왕 6년(659) 10월 漢山州에 창건되었다. 죽은 장춘과 파랑이 태종무열왕 앞에 나타나, 백제를 공격하기 위해 당나라 구원군이 파견되었다는 소식을 전해주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 장춘랑 파랑조에 보이는 장의사 창건 기록은 『삼국사기』 태종무열왕 6년 10월조 기사를 토대로 하여 불교적으로 윤색된 설화이다. 두 기록을 비교해보면 기본 줄거리만 같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 다르다. 사람 이름도 조금 다르고, 장춘․파랑이 사망한 시기, 장춘과 파랑이 나타나서 말한 내용, 장의사의 창건 시기 등이 다르다.
    죽은 장춘과 파랑이 당나라 구원군이 온다는 소식을 전해주었다는 이야기는 믿을 수 없다. 무열왕은 그 소식을 미리 알고 있으면서도, 국운을 걸고 치루는 백제와의 전쟁을 앞두고 국론을 통일할 목적으로 장춘과 파랑을 부각시키는 한편, 불교의 힘을 빌리고자 장의사를 창건하려고 했다.
    장춘과 파랑은 진평왕 24년(602) 백제와의 아막성 전투에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가 크게 승리한 전투로서, 아막성 남쪽의 荒山이 계백과 싸웠던 黃山과 발음이 같아서 후대에 서로 연계되어 혼동이 일어났던 것 같다.
    장의사를 북한산 아래에 만든 것은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때문일 것이다. 진흥왕의 업적을 계승하여 다가올 백제와의 전쟁을 반드시 승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곳은 북쪽의 고구려 세력을 감시․견제할 수 있는 지리적․군사적인 이점을 가진 요충지이기도 했다.
    장춘랑파랑설화는 660년 7월의 백제 멸망을 전후하여 9월까지 신라군과 당나라군의 갈등을 반영하고 있고, 백제 멸망 직후에 만들어졌다면 이해할 수 없는 혼동과 착오가 포함되어 있다. 아마도 이 설화는 신라와 당나라가 쇠약해진 신라 말이나 고려 초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영어초록

    Jangui temple was established at the Hansan providence in October of the year 659 (the sixth year of the King Taejong Muyeol) in order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Jang Chun and Parang. For Jang Chun and Parang brought to the King Taejong Muyeol the news that the reinforcing forces of the Tang Dynasty were dispatched to attack Baekje.
    The folk table of Jang Chun Rang and Parang in the Samgukyusa is one that has embellished the story of establishment of Jangui temple in a Buddhist way. The two records are the same in their basic stories, but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times of the deaths of Jang Chun and Parang, their talks,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Jangui temple, etc.
    The King Taejong Muyeol established Jangui temple because it was necessary to unify public opinions in front of the war against Baekje. He desired to borrow strengths of Buddhism by putting emphasis on the loyalty and righteousness of Jang Chun and Parang. Jang Chun and Parang are presumed to have died at the Amakseong Battle with Baekje in the year 602 (the 24th year of the King Jinpyeong).
    Jangui temple was built up under the Bukhansan Sunsubi Monument for the purpose of succeeding the King Jinheung’s achievements and winning the war with Baekje. Also this place is a strategic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forces of Goguryeo in the north.
    The folk table of Jang Chun-Rang and Parang in the Samgukyusa shows a conflict between the Silla and the Tang Dynasty after the fall of Baekje. It seems to have been made at the end of the Silla or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