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약성서는 정교분리를 지지하는가? - 마가복음 12장 17절과 요한복음 18장 36절을 중심으로- (Does New Testament support the separate of religion and politics? - Focusing on Mark. 12:17 and John 18:36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1.08
24P 미리보기
신약성서는 정교분리를 지지하는가? - 마가복음 12장 17절과 요한복음 18장 36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25권 / 1호 / 9 ~ 32페이지
    · 저자명 : 정승우

    초록

    본 논문은 전통적으로 정교분리의 근거로 사용되어 왔던 복음서의 대표적인 본문, 마가복음 12장 17절과 요한복음 18장 36절을 1세기 그레코-로만의 사회/정치적 문맥에 위치시킨 채 이해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통해 루터의 ‘두 왕국론’과 미국의 제헌헌법에 명시된 근대적 정교분리의 개념을 1세기 팔레스타인 사회에 투사하려는 시도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라는 사실을 주석학적으로 밝힐 것이다. 그리고 ‘가이사의 것과 하나님의 것’을 분리하고 ‘예수의 나라를 천상적인 것’만으로 이해하고자 했던 서구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드러낼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a political implication of Mark. 12:17and John 18:36, Each vers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rses that shows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raditionally, these two verses have been only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piritual realities. However, the recent studies of the historical Jesus show us that Jesus’ teaching is politically specific in the sense that it addresses specific situations in the 1st Greco-Roman society. Since the Judaism of Jesus’ times was deeply embedded in that religious roles, employment, organization, and systems of worship governed by political and economical considerations,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politics from religion in the context of the first century Judaism. Therefore, Jesus’ statement about rendering to Caesar and God what belongs to each cannot be understood as a timeless thesis concerning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the modern sense. Rather, Mark. 12:17 should be understood as an antithetical aphorism against his opponents who kept distance Caesar’ tax from God’s ownership to Israel. Jesus’ saying in Mark 12:17 and John 18:36 is in some degree conditioned by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it arose. Ideologically, these verses have been exploited by a Reformation “two realms” theory and the modern idea concerning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t would be anachronistic to read Mark 12:17 and John 18:36 in the light of the contemporary notion that separate of church and state. By placing the texts of Mark and John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first century Judaism,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of ideological and literary decontextu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