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에 관한 연구 Ⅱ - 정제두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pter system of 『JungYong』 by scholars who wanted to escape from Neo-Confucian Ⅱ - Focusing on Jeong Je-du's the Chapter (章) and Section (節) of 『JungYong』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탈주자학을 꿈꾼 학자들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에 관한 연구 Ⅱ - 정제두의 『중용』 장절(章節) 체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4호 / 63 ~ 91페이지
    · 저자명 : 황인옥

    초록

    본 연구는 정제두의 『중용』 분장절(分章節) 체계를 고찰하여, 그의 『중용』 해석의 특징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가 있었다.
    첫째, 『중용』을 상편은 원리의 측면, 하편은 수양의 측면으로 나누었고, 원리보다는 수양의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그는 상편을 솔성(率性)의 체(體)를 설명한 내용으로, 하편을 수도(修道)의 공부를 설명한 내용으로 보았으며, 『중용』 전체의 주제를 수도로 보아 끊임없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둘째, 『중용』의 중심 주제를 솔성을 포괄하고 있는 수도로 규정하여, 7장으로 분장(分章)하였다. 그리고 7개 장의 주제를 수도로 일관하는 구조를 제시하여, 결국 『중용』의 뜻은 수도를 지극히 하면 솔성에 이르게 되고, 끝내 천도와 합하게 되는 내용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천(天)과 인성(人性)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여 『중용』 전체를 해석하고 분장하였다. 그는 하늘이란 일원(一元)의 전체이니 도의 큰 근원이며, 성(性)이란 사람의 마음에 품부(稟賦)된 하늘이니 사람이 주체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하늘과 성과 인심(人心)을 하나의 근원으로 인식하였고, 인심의 자각을 통한 내적 덕성의 함양을 통해 천도에 합치되기를 바랐다. 그가 『중용』을 상⋅하편으로 분장하여 수양을 강조하고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수도로 규정한 것은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비은(費隱)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중용』 전체가 비은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그는 은을 체(體)에, 비를 용(用)에 분속하고, 체인 은은 솔성이 되며, 비인 용은 수도가 된다고 하였다. 7개 장의 주제를 모두 솔성과 수도로 보아 『중용』 전체가 비은(費隱)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정제두는 『중용』을 상⋅하편과 7장으로 나누면서 원리보다는 수양을 강조하였다. 또한 비은을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중용』 전체에 적용하였으며, 중심 주제는 솔성의 개념을 포괄한 수도라고 하였다. 결국 그는 『중용』을 수도하는 자가 하늘의 특성을 받은 마음의 자각을 통해, 끊임없이 실천하게 되면 솔성에 이를 것이고, 끝내 하늘과 합하게 됨을 말하고 있는 경전으로 인식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testines (章) and clauses (節) in Jeong Je-du's 『JungYong』,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tion. Jeong Je-du independently interpreted 『JungYong』 by dividing it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7 chapters, which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JungYong』 was divid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book on the aspect of principles, and the lower part of the book on the aspect of cultivation, focusing on the aspect of cultivation rather than the principles. He viewed the first part as an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of follow one's nature(率性), and the second part as an explanation of the study of ascetism (修道), which is an aspect of study. And the entire 『JungYong』 was viewed as ascetism, constantly emphasizing self-discipline.
    Second, the central theme of 『JungYong』 was defined as ascetism, which includes follow one's nature(率性), and was divided into 7 chapters. In addition, a structure was presented in which the central themes of all seven chapters are consistent with follow one's nature(率性) and ascetism. It was shown In the end, the meaning of 『JungYong』 is that if you practice ascetism to the extreme, you will reach follow one's nature(率性) and eventually merge with the Tao of Heaven.
    Third, the entire 『JungYong』 was interpreted and transformed by recognizing heaven, human nature, and human mind as one source. He becomes the totality of all sources called heaven and the great source of Tao. It is said that nature is the heaven that is born in the human mind, and that the human being is the subject. Jeong Je-du recognized heaven, nature, and the human mind as one source, and placed importance on cultivating internal virtue through awareness of the human mind. The fact that he divideed up 『JungYong』 as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emphasizeaspect of cultivation and define all seven chapters as ascetism reflects this perception.
    Fourth, Bieun (費隱) was interpreted as practicing the way of moderation, and the entire 『JungYong』 was interpreted and dressed up as Bieun. He divided eun (隱) into bodies and bi (費) into action, Eun becomes follow one's nature(率性), and Yong, Bi, becomes asceticism. He saw the theme of the seven chapters as ascetism, and that ascetism includes follow one's nature(率性), so the whole of Jungyong becomes Bieun(費隱).
    In this way, Jeong Je-du divided 『JungYong』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seven chapters, emphasizing discipline rather than principles, interpreting Bieun as putting JungYong's intention into practice and applying it to the whole, and calling the central theme as asceticism, including follow one's nature(率性). For him, 『JungYong』 is a scripture that tells how ascetic reaches follow one's nature(率性) through constant practice through awareness of the human mind with heavenly characteristics, and eventually merges with heav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