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의 장으로서 공동식사의 함의 (The Common Meal Implications As an Educational Venu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6.09
34P 미리보기
교육의 장으로서 공동식사의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47호 / 349 ~ 382페이지
    · 저자명 : 양승준

    초록

    많은 교회에서 회중의 목회참여와 사역을 위해 공동식사를 행하고 있다. 공동식사의 자리는 삶과 신앙을 위해 의미를 추구하며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자리임에도 대부분의 공동식사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한 끼 식사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서적, 역사적, 문화적인 탐구를 통해 공동식사에 나타난 의미와 요소를 살펴보고 도출하면서 현대 교회의 공동식사를 갱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성서적 이해로써 구약의 식사는 하나님의 돌보심과 공급하심을 드러낸다. 또한 유월절 식사는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공동체의 상호교제와 평등주의의 지향,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나눔의 확장이 표출되었다. 신약의 식탁교제에서는 교제, 예배, 만남, 기쁨, 환대, 구원의 과정, 개방성, 경계 허물기가 나타났다.
    둘째 역사적 이해로써 초대교회 아가페 식사는 사랑을 증진하며 가난을 위로하고 겸손을 훈련하는 교제와 연합의 식사였다. 그리고 모라비안의 애찬회는 유대관계 - 화합, 친절, 친화성과 더불어 지난 일을 용서하고 다른 이들을 더욱 사랑하기 위한 연합과 사랑이 핵심이었다. 초기감리교도들의 애찬회는 자유와 평등과 친밀한 형제애를 경험했으며, 마음 뜨거운 사랑의 교제와 자유로운 간증을 통해 회심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한국문화적 이해로써 밥과 식사에 나타난 식구(食口), 평화(平和) 등의 의미를 탐구하며, 밥상공동체에 담긴 잔치와 축제, 성찬에서 성매로써의 영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같은 다양한 이해와 의미추구를 통해 현대의 공동식사의 자리를 사랑과 교제를 나누며 연대하고, 경험과 의미를 통해 신앙을 형성하며, 피조물로서 정의와 평화를 실천하고 생태적 문제와 환경을 위한 의도적인 교육의 장(場)으로 갱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영어초록

    A number of churches give a common meal in order to make congregants participate actively in ministry. A common meal is an educational venue in which people share meaningful experiences in their personal and religious lives. Unfortunately, such a love feast in church is turning to a superficial and perfunctory meal. This paper seeks measures to renew a common meal by investigating biblical,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meanings of a feast at church. From a biblical perspective, first, a meal of Passover in the Old Testament pursued intercommunion, egalitarianism, and consideration on social minorities. In the New Testament, it is evident that sharing a meal demonstrated fellowship, worship, meeting, joy, welcoming, salvation, openness, and breaking walls. From a historical understanding, second, Agape feast in early churches were identical with communion and reunion through which believers could practice love, comfort the poor, and learn to be humble. In addition, a love feast in Moravian stressed love and solidarity so that members could forgive and love one another in presence of reconciliation, kindness, and affinity. Early Methodists's love feast in sharing meals experienced liberation, equality, and brotherly affection. In particular, they went through religious conversion through heartwarming love fellowship and voluntary testimony. In Korean culture, third, sharing meals implies the meaning of family and peace. “식구(食口),” which means family in Korean, refers to people who eat the same meal and “평화(平和),” which means peace in Korean, derives from sharing the equal meal. Furthermore, Korean dining table community reveals the spirit of a banquet, a festival, and a holy medium. Based on various understanding on sharing a meal above, it seeks for measures to transform a love feast at church into a space in which people can be reunited in love and fellowship, form their faith through meaning-making, practice justice and peace as a duty of creatures, and discus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