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과 여래장 사상의 융합 -眞諦(499-569)의 여래장 해석과 티벳불교의 他空說을 중심으로- (Integration of Buddha-nature theory into Yogācāra Ideas -Paramārtha and Tibetan Other-Emptines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1.02
48P 미리보기
유식과 여래장 사상의 융합 -眞諦(499-569)의 여래장 해석과 티벳불교의 他空說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4호 / 159 ~ 206페이지
    · 저자명 : 안성두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의 융합이 불교사상사에서 처음으로 분명히 드러난 眞諦(Paramārtha, 499-569)를 통해 그 융합의 양태가 무엇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진제의 이해가 후대의 티벳 불교에서 소위 他空(gzhan stong)설이 보여주는 융합의 양태와 어떤 점을 공유하고 있고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진제의 여래장 해석이나 삼성설 해석에서 가장 큰 연결고리는 진실성의 두 측면 중에서 불변이 진실성/진여를 자성청정심과 연결시키고 이를 매개로 해서 아말라식과 여래장 개념을 포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진제에게 있어 여래장 개념의 포섭은 유식학파의 개념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소극적인 것이다. 이는 진제가 활동했을 당시 인도불교의 사상사적 맥락에서 볼 때 충분히 납득이 가지만, 그럼에도 진제는 『불성론』 등의 저작에서 『보성론』을 활용했다고 지적되듯이 유식사상의 맥락에서 여래장 사상의 함축성을 포용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티벳불교의 타공설을 논의할 때, 나는 여래장사상과 삼성설에 초점을 맞추어 여러 타공론자들의 관점을 비교해서 제시했다. 그럼으로써 타공설이 하나의 흐름이 아니며 유식과 여래장 문헌에 대한 다양한 해석관점에서 나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초의 ‘타공론자’로서 진제의 특징적 사고는 삼성설에서 불변이 진실성을 분별성과 의타성의 비존재로 해석한 것에 있다. 이는 다른 유식논서에서의 진실성의 정의와 비교해 다른 점으로서, 우리는 이 해석이 후대 될포파의 타공설과 동일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진제는 여전히 유식사상가로서 될포파처럼 이를 유위법을 완전히 초월한 무위법으로 간주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이런 진제의 해석이나 될포파의 해석은 진제 이후 동아시아와 티벳불교에서 진행된 여래장 사상의 소위 ‘기체론적’ 전개와 관련하여 유사한 사상적 패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Paramārtha (499-569)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o integrate the Yogācāra thought and the Buddha-nature theory, and based on that, to understand the varios mode of the so-called Other-emptiness theories (gzhan stong). In doing so, I tries to show the varieties of the mode of fusion and what points it differs from the later Tibetan Buddhism.
    The major melting point in Paramārtha’s thought consists in the interpretation of two aspects of the accomplished nature (pariniṣpanna-svabhāva): unmistaken and unchanging aspect. In particular, Paramārtha interprets the latter one as the natural purity of mind, by way of which the concept of *amala-vijñaana and Buddha-nature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It is, however, to be noteworth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Paramārtha that the integration of the Buddha-nature idea into his Yogācāra-based systematization shows the restriction in some degree. This seems to be quite convincing, if we consider the background of Indian Buddhism, when Paramārtha was still active. Nevertheless, some of his texts demonstrate his interests in the Buddha-nature idea, which can be shown through the translation of Treatise on *Buddha-gotra (佛性論).
    And when discussing the Other-emptiness theory in Tibetan Buddhism, I compared the viewpoints of some important scholars, who belong to the circle of Other-emptiness with each other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Buddha-nature and Three Nature (svabhāva). In doing so, I follow the idea of recent scholars that there are various forms of Other-emptiness, and their differences can be traced back to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issues in these theories.
    In my former article, I suggested that Paramārtha may be “the first Other-emptiness thinker”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he reason for this evaluation is, among others, that he insists on the non-existence of parikalpita-svabhāva and paratantra-svabhāva in the accomplished nature (pariniṣpanna-svabhāva). This is his unique viewpoint in that he clearly expresses this idea in his translations and compositions, though vaguely implied in the Yogācāra text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his interpretation of the three nature in this point is very similar to that of Dolpopa, the founder of Other-Emptiness theory in Tibetan Buddhism. Whereas Dolpopa argues that the state of Other-emptiness which is tantamount to the unchanging aspect of the accomplished Nature can not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ditioned factors, but it completely transcends all the characteristics attributed to the conditioned factors, Paramārtha still remains faithfully in the main idea of Yogācāra school. In this regard, his interpretation together with Dolpopa's deserves our attention in that it shows similar interpretative patterns of the Buddha-nature ideas in East Asian and Tibeta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