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의 실천․전유․분산의 한 사례- (The knowledge constructed in the field of the late Chosun Dynasty novels -A performance․appropriation․differentiation of discourses in 「Changseon-gam-ui-rok 창선감의록」-)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12
3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의 실천․전유․분산의 한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7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주형예

    초록

    이 논문은 「창선감의록」을 기본 자료로 하여 소설 장에서 구성되는 지식의 문제를 담론 실천과 전유, 분산 등의 현상을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설에서 구성되는 지식에 대한 별도의 논의가 필요한 이유는 현실 담론이 실천적 맥락을 확보하고 재규정되는 장이 소설의 장이기 때문이다.
    우선 예법을 체현한 화진과 남부인에게서 윤리성을 주변 인물들에게 인정받아 사회적 권력을 얻는 특징적 담론 실천 방식이 확인된다. 고난과 보상이 연계되는 현상 또한 통속과 오락으로서의 소설이 구성할 수 있는 담론 실천 방식이었다. 남성에게는 고난으로 견뎌야 하는 상황과 문제해결을 통해 적극적으로 입지를 만들어 나가는 상황이 공존하고 있었지만, 여성인물에게는 고난-견딤이 보상으로 이어진다는 제한적 논리로 나타났다.
    이 구조는 일련의 장편 소설들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장편 소설의 특징적 지식 구조로서 검토할 필요성이 있었다. 젠더적 관점에서 볼 때, 이 구조는 젠더 전유를 통해 여성들에게는 금기였던 영역을 경험할 수 있는 상상적 계기를 제공했다. 윤리성만이 유일하게 사회적 인정을 획득할 수 있는 자질이었던 여성에게 윤리적 지지를 통해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소설의 상상은 쉽게 전유될 수 있었다. 남장 여자 모티프는 전유를 통한 사회적 인정 획득 과정을 잘 보여준다. 여성의 몸 그대로 전유할 때에는 윤리적 지지에 강조점을 두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 남장 여자 모티프로 전유할 때에는 남성적 영역을 경험하고 성공으로 귀결되는 의미에 좀 더 집중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젠더화된 모티프들 중 기본 담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들도 발견되었다. 기생/변방의 여인이 첩으로 가문 안에 진입하는 것은 가문의 일원으로 포함되는 동화(同化)라는 점에서 남자 주인공에 대한 보상 모티프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생/변방의 여인이 가문 안에 진입하여 주인공의 배우자로 자리잡고 윤리적 소양을 전유하는 형상을 만들어내면서 가문 내의 위계와 관계가 흔들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창선감의록」과 장편소설에 나타난 현상은 조선후기 소설의 생산-출판-독서로 구성된 소설 장이 상식적 윤리/고난 담론의 분산 체계로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현실 윤리의 엄격성과는 다르게 매우 통속적 권력욕이 윤리 담론을 견인하고 있었고, 보상을 얻기 위한 수동적 견딤을 넘어서 문제해결을 통해 욕망을 쟁취하는 적극성이 나타나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경직되고 수동적인 윤리적 구속과 좁은 공간 상상에 갇혀 있는 경향이 있었지만, 남성을 기준으로 상상된 욕망 성취 방식은 바로 여성에게 전유되었고,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젠더화된 모티프는 신분/지역/젠더 등의 경계를 흔들 수 있는, 지식 유동의 상상적 구심점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knowledge of nove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 this study, it was examined practicing discourse․appropriation․differentiation in those novels. In the field of those novels, several discourses have a chances practicing and redeterminations of contexts.
    First, Hoajin(화진) who is a code of honor himself behaved ethical manner, so he got social power. This point showed the way the ethical discourses worked in this novel. Main characters represented the performance of discourse and other novels showed the same manners. And The idea that all the main characters’ hardship rewarded compensation necessarily was constructed in the popular novels. A man endured his trouble but sometimes he solved problem so made his power himself. On the other hand, A woman must have endured given trouble, as a result she could get some rewards.
    This narrative structure was discovered in many full-length novels, therefore this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showed in full-length novels was distinctive features during the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novels. A woman can imagine about taboo areas. Only her ethicality can achieve social recognition, so she can appropriate the ethical-power discourse easily. Female transvestite motif was good example. A woman in disguise could experience man’s areas and could have possibility to change gender-limit.
    Then some other gendered motives have possibility to change basic narrative discourse. The case that Gisaeng(妓生)/A woman from remote region was made one in a hero’s noble family was not different from any other novels. When the woman has a status in his family and appropriates ethicality of the lawful wife, the common-sense of hierarchy become on the line.
    「Changseon-gam-ui-rok 창선감의록」and some full-length novels are good example that common ethical and trouble discourse performed extraordinary in that novel field. So strong desire of popular power pulled ethical discourse and trouble discourse included passive endurance active solving problem was discovered. Although a woman was locked in ethical prison more than a man, she can appropriate man’s imagination and desire. Furthermore gendered motives worked to rub out slowly the line of hierarchy․region․ge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후